[길섶에서] 한복 입는 국회의원/이종락 논설위원

[길섶에서] 한복 입는 국회의원/이종락 논설위원

이종락 기자
입력 2018-07-31 20:52
수정 2018-07-31 21:1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지난 16일 20대 국회 후반기 개회식을 보며 느낀 아쉬운 점 하나. 첫 본회의에서 의원들이 한복을 입었으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도쿄에 근무할 때 보니 일부이지만 일본 의원들은 매년 정기국회 개원일(1월)에 여성은 기모노, 남성은 하오리하카마 같은 전통 의상을 입고 등원한다. 올해도 예외가 아니었다. 이들은 국회 내 동아리인 ‘일본전통의상의원연맹’ 소속 의원들이다.

몇 년 전부터 한복을 패션이자 놀이로 받아들이며 즐기는 젊은이들이 부쩍 눈에 띈다. 일부 전문가들은 한복은 옷 전체에 흐르는 곡선은 물론 대님과 옷고름의 맺음에 아름다움이 있는데 개량 한복은 이를 담고 있지 않다며 비난한다. 또 색깔의 조화며 희디흰 동정에서 한복의 미를 찾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우리 정치인조차 외면하는 한복을 무더운 날에도 입고 고궁 일대를 누비고 다니는 젊은이들에게 뭐라 할 수는 없다. ‘기모노의 날’이 있는 것처럼 ‘한복의 날’이 있다. 한복의 우수성과 산업적·문화적 가치를 알리고자 1997년 시작됐는데, 10월 어느 날을 ‘한복을 입기 가장 좋은 날’로 잡는다. 9월이면 정기국회가 열린다. 정쟁을 하루쯤 접고 정기국회 개원 첫날 한복을 입고 여의도로 출근하는 국회의원을 보고 싶은 이는 나 혼자뿐일까.

2018-08-01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