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열무값을 보는 두 개의 눈/임창용 논설위원

[길섶에서] 열무값을 보는 두 개의 눈/임창용 논설위원

임창용 기자
임창용 기자
입력 2018-08-27 22:18
수정 2018-08-27 22:4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엊그제 아내와 집 인근 마트에 갔을 때의 일이다. 아내가 열무단을 들었다 놨다 하면서 너무 비싸다고 투덜댄다. 가격을 보니 3500원이다. “그게 뭐가 비싸. 열무 한 단을 키워 묶어서 내보내려면 공력이 얼마나 드는데.” 반사적으로 튀어나온 내 말에 고개를 돌린 아내 얼굴이 ‘또 그 소리냐’란 표정이다.

폭염으로 농산물값이 크게 오른 뒤 가끔 아내와 벌이는 실랑이다. 쌀이 비싸다고 하면 “한 달 먹을 양식인데 뭐가 비싸냐”고 하고, 배춧값이 폭등해 김치도 못 해 먹겠다 하면 “폭락해 산지에서 그냥 버릴 때도 있다”고 맞대응하는 식이다. 언젠가는 한 판에 5000원인 달걀값이 비싸다기에 “커피 한 잔엔 군소리 없이 5000원을 내면서”라고 타박하자 아내가 되받아쳤다. “당신은 대체 소비자야, 생산자야?”

농산물을 보는 나와 아내의 눈높이는 이리 다르다. 농촌에서 자라 농사일을 가까이 한 나와 농산물을 사서 먹기만 한 아내의 이력이 빚어낸 차이인 듯싶다. 추수 뒤 빈 논을 뒤지며 벼 이삭을 줍고, 땡볕 아래서 열무를 뽑아 밤늦게까지 볏짚으로 열무단을 묶던 기억이 생생한 내겐 농산물값 성토가 그저 야속하다. 농산물에 관한 한 내게 소비자 마인드 무장은 애초에 글러 먹은 것 같다.

임창용 논설위원 sdragon@seoul.co.kr

2018-08-28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