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쌀국숫집 주인/임병선 논설위원

[길섶에서] 쌀국숫집 주인/임병선 논설위원

임병선 기자
입력 2021-08-26 20:20
수정 2021-08-27 02:3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아침 7시면 어김없이 그 쌀국숫집 벽에는 스쿠터가 기대어 있다. 물청소 마친 쓰레기통들이 가지런히 놓여 있곤 했는데 4주 전의 어느 날은 그렇지 않았다. 이상한 일이었다.

문 유리창에 A4 용지가 붙어 있어 일부러 길을 건너가 살폈다. ‘어깨를 다쳐 가게를 열 수 없게 돼 손님들에게 죄송하다’는 것이었다. 그 뒤 며칠 동안 실망한 손님들이 그 용지의 여백에 볼펜 글씨로 ‘빨리 나으셔서 맛있는 요리 먹게 해 달라’고 애원하는 글을 적어 넣곤 했다.

이 가게가 문을 연 것은 5년 전쯤. 한결같다. 베트남 하노이와 호찌민의 오토바이 가게 즐비한 골목에서 할머니들이 목욕탕에서 깔고 앉던 의자에 앉아 호로록 먹던 그 맛을 내는 집이다. 대기업의 프랜차이즈 쌀국숫집에서 1만 2000원 받기도 하는데 이 가게는 훨씬 싸고 맛은 백배천배 낫다. 산적처럼 얼굴이 넙데데한 주인장은 웬만해선 주방 밖으로 나와 홀의 손님들에게 얼굴을 보여 주지 않는데 난 그런 점도 아주 마음에 든다.

아내가 이번 주 문을 열었다고 해 얼마나 반가웠는지 모른다. 그제 저녁 꽃게네트에 쌀국수, ?양라면을 게눈 감추듯 맛있게 먹고 계산했는데 2만원이었다. 주방의 주인장에게 마음의 인사를 올렸다. 빨리 제자리로 돌아와 고맙다고,

2021-08-27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