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두고두고 이 봄길

[길섶에서] 두고두고 이 봄길

황수정 기자
황수정 기자
입력 2025-05-02 00:37
수정 2025-05-02 01:4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세수도 하지 않고 양말도 신지 않고 시골집 대문을 나섰다. 아버지가 모른 척 따라 오셨다. 작정 없이 아침내 들길을 걸었다. 아버지와 언제 이렇게 달팽이처럼 느리게 걸었던가.

둑방에 깔린 애기똥풀 노란꽃을 그냥 따 보고, 밑거름 뿌려진 배나무 밭을 발이 빠지면서 건너고, 묵은 빈집이 밭이 된 자리를 돌아 걷고, 노래 잘 불렀던 순덕 아주머니 산소를 지나고, 밤이면 흰꽃이 빛을 낸다는 야광나무 아래 처음 서 보고. 흰꽃을 한아름 꺾어 달라고 나는 아이 때처럼 떼를 쓸 뻔했다.

걷다 보니 아버지 등뒤를 내가 따라 걸었다. 종이처럼 얇아진 아버지 발자국들을 나는 몰래 주워 담았다.

무슨 맛도 없고 무슨 색깔도 없고 아무 이야기도 아닌 봄길. 세상 어떤 일은 아무 까닭 없이도 하고 싶어진다. 까닭이 없이 아버지와 걷고 싶었다.

도꼬마리, 도깨비바늘이 내 바짓자락을 붙들고 따라 왔다. 몰래 주워 온 아버지 발자국들과 함께 서랍에 넣어 두었다. 하나씩 꺼내 가만히 들여다 봐야지. 봄이 더디 올 때, 봄의 생애가 짧아 서러울 때, 떠난 사람들 안부가 하도 궁금해질 먼 봄날에.

황수정 논설실장
2025-05-02 3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지자체의 마스코트 제작...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서울시 마스코트 ‘해치’가 탄생 1주년을 맞이했다. 전세계 지자체 마스코트 중 가장 유명한 일본 구마모토현의 ‘쿠마몬’도 올해로 14살을 맞이했다. 우리나라 지자체들도 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마스코트를 앞다투어 만들고 교체하고 있다. 이런 지자체의 마스코트 제작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활용에 대한 구체적 계획이 없어 예산낭비다.
지역 정체성 홍보를 위해서 꼭 필요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