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수정
황수정 기자
안녕하세요. 서울신문 황수정 기자입니다.
최신 뉴스
  • 두고두고 이 봄길

    두고두고 이 봄길

    세수도 하지 않고 양말도 신지 않고 시골집 대문을 나섰다. 아버지가 모른 척 따라 오셨다. 작정 없이 아침내 들길을 걸었다. 아버지와 언제 이렇게 달팽이처럼 느리게 걸었던가.둑방에 깔린 애기똥풀 노란꽃을 그냥 따 보고, 밑거름 뿌려진 배나무 밭을 발이 빠지면서 건너고, 묵은 빈집이 밭이 된 자리를 돌아 걷고, 노
  • 꿈인지 봄인지

    꿈인지 봄인지

    앞장섰던 강아지가 벤치 앞에서 멈춰 선다. 봄볕 명당을 어떻게 알았을까. 겨우내 그냥 지나치더니 오늘은 기어이 앉아 보자는 거다. 녀석의 손톱만 한 발바닥 아래로 포슬거리는 봄흙.벤치 저 앞 공터 텃밭에 누군가 부지런히 봄을 퍼날랐다. 밑거름을 넣어 팥시루떡 같은 밭이랑을 만들어 놨네.소복한 봄볕 아래 눈이 감긴
  • 이재명 대표가 이재명을 이기는 방법

    이재명 대표가 이재명을 이기는 방법

    이재명 대표의 말 바꾸기가 날마다 논란이다. 그의 성장 우선 실용주의가 어디까지 진심인지보다 더 궁금한 게 있다. 진심 시비가 불거질 때 이 대표는 어떤 마음, 어떤 표정일까. 나는 그것이 궁금하다.이 대표는 별로 난감해하지 않는다. 해명이나 변명을 하지도 않는다. 얼굴이 벌게져서 뒷수습을 하려고 쩔쩔매는 모습을
  • 있어도 없는 듯이

    있어도 없는 듯이

    수십년은 됐을 낡은 찬장이며 가구들을 분리수거장에서 빤히 들여다보고는 한다. 누군가의 한 생애에 붙박이 풍경이었을 것들. 쓸모를 다한 것의 뒷모습은 생명이 있거나 없거나 쓸쓸하다.오래된 물건을 볼 때는 오래전 라디오에서 스쳤던 사연이 잊히지도 않고 떠오른다. 목화밭 집 딸이었던 외할머니, 손수 딴 목화로 시집올
  • 누가 폐족인가, 한동훈인가

    누가 폐족인가, 한동훈인가

    그래도 2년 반이나 대통령이었는데. 어떻게 그런 판단을 했을까. 많은 것이 의문이지만 분명해진 사실은 있다. 윤석열 대통령은 두고두고 야사(野史)의 혼군(昏君)으로 남을 것이다.국회의원의 국회 출입을 막아야 하는 계엄령을 왜 평일 밤에 내렸을까. 계엄은 지속 가능했을까. 국방장관은 뭘 위해 다 걸기 도박을 했을까
  • 이재명 대표 ‘민주주의 말살기’ 거의 마지막회

    이재명 대표 ‘민주주의 말살기’ 거의 마지막회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1심에서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형을 받았다. 고 김문기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개발1처장이 딸에게 보낸 동영상이 유죄 증거로 채택됐다. 대장동 개발사업 실무자였던 김씨는 해외 출장에서 이 대표와 골프를 친 뒤 딸에게 그 동영상을 보냈다. 그는 대장동 의혹에 엮여서
  • 집으로

    집으로

    이즈음 교외로 나가면 버릇처럼 하는 일이 있다. 이름 모르는 마을에 문득 멈춰 골목을 걷는다. 졸다 깬 백구한테 쫓겨나기라도 하면 낭패. 발가락에 힘을 모아 날듯이 걸어야 한다. 대놓고 어슬렁거려서도 안 된다. 내 갈 길 내가 간다는 듯, 그러나 곁눈질을 쉬지 않고.마당이 넘어다 뵈는 낮은 집들이 이마를 대고 있
  • 헌책처럼, 가을처럼

    헌책처럼, 가을처럼

    오래된 책을 인터넷을 뒤져 손에 넣는 즐거움. 헌책 읽는 맛이 제법이다.우정과 동치미는 묵혀야 제맛이고 책만은 새것이라야 한다고 고집했더랬다. 옛 문사들이야 손때 묻은 책의 운치를 자랑하고는 했다. 작가 이태준은 “먼지를 털고 겨드랑 땀내 같은 것을 풍기는” 묵은 책들을 글로써 예찬했다. 그렇게 연륜이 깊은들 새
  • ‘임종석 의장님’과 몇몇 586이 연명하는 법

    ‘임종석 의장님’과 몇몇 586이 연명하는 법

    임종석 전 대통령실 비서실장이 “통일하지 말자”고 했다. 이 말을 보수쪽 유력 정치인이 공개적으로 했다면 어떤 사달이 났을까. “출세를 위해 (사법)고시를 했으니 미안해하라”고 그가 공격했던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말했다면. “반통일 반민족 행위”로 벌집이 쑤셔졌을 것이다.임 전 실장은 대한민국 영토를 한반도와
  • 보자기를 널고

    보자기를 널고

    시골집에서 올라온 보자기를 풀려고 끙끙댔다. 대뜸 가위를 들었다가 내려놓았다. 여기까지 달려온 보자기한테 이러면 안 되지. 한쪽 매듭은 못 푼 채로 보자기 안의 것들이 삐어져 나온다. 잘 볶인 깨소금도, 잘 익은 된장도, 잘 빻아진 고춧가루도, 봄산 꽃구경하다 말고 보따리째 꺾어 오셨다던 고사리도. 구메구메 봉지
더보기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