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진전문가들은 아이티에서 강력한 지진이 발생할 수 있다고 수년전부터 이미 경고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13일 CNN에 따르면 미 텍사스대학 지구물리학연구소의 폴 맨 선임연구원을 비롯한 5명의 지진전문가들은 2008년 3월 도미니카공화국 산토도밍고에서 열린 제18차 카리브해 지질학 총회에 제출한 논문에서 아이티와 도미니카공화국이 위치한 히스파니올라 섬에 대규모 지진이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들은 히스파니올라 섬 남부지역의 단층지대가 대규모 지진을 유발할 위험성을 안고 있다고 지적했다.
아이티의 이번 지진은 엔리킬로-플랜틴 가든 단층지대에서 발생했으며,바로 이 지대가 2년전 전문가들이 위험성을 경고한 것과 같은 단층선에 위치하고 있다고 CNN은 설명했다.
맨 연구원은 CNN과의 회견에서 “이 단층지대가 수백년간 비활동상태로 남아 있을 수 있다는 것이 문제”라면서 “따라서 지진 발생 시기를 예측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고 말했다.
2004년에도 미 매사추세츠 해양학연구소의 지안 린 연구원을 포함한 2명의 전문가가 지질학 저널에 실은 연구논문을 통해 도미니카공화국의 시바오 계곡을 지나는 셉텐트리오날 단층지대에 지진활동이 매우 활발하다고 경고한 바 있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 관계자는 아이티가 속한 히스파니올라 섬이 두개의 지각 구조 플레이트에 끼여 있으며,북미 플레이트와 카리브해 플레이트가 가위 모양으로 이 섬을 조이면서 압박하는 상황이 벌어지면서 지진이 발생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히스파니올라 섬과 미국령 버진아일랜드,푸에토리코 등 카리브해 지역에는 지난 500년 동안 규모 7.0 또는 그 이상의 대규모 지진이 10여차례 발생했으며 가장 최근에는 1946년 규모 8.0의 지진이 히스파니올라 섬을 강타,쓰나미를 야기하면서 2만명의 이재민을 발생시킨 바 있다고 미 지질조사국은 밝혔다.
멕시코시티=연합뉴스
13일 CNN에 따르면 미 텍사스대학 지구물리학연구소의 폴 맨 선임연구원을 비롯한 5명의 지진전문가들은 2008년 3월 도미니카공화국 산토도밍고에서 열린 제18차 카리브해 지질학 총회에 제출한 논문에서 아이티와 도미니카공화국이 위치한 히스파니올라 섬에 대규모 지진이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들은 히스파니올라 섬 남부지역의 단층지대가 대규모 지진을 유발할 위험성을 안고 있다고 지적했다.
아이티의 이번 지진은 엔리킬로-플랜틴 가든 단층지대에서 발생했으며,바로 이 지대가 2년전 전문가들이 위험성을 경고한 것과 같은 단층선에 위치하고 있다고 CNN은 설명했다.
맨 연구원은 CNN과의 회견에서 “이 단층지대가 수백년간 비활동상태로 남아 있을 수 있다는 것이 문제”라면서 “따라서 지진 발생 시기를 예측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고 말했다.
2004년에도 미 매사추세츠 해양학연구소의 지안 린 연구원을 포함한 2명의 전문가가 지질학 저널에 실은 연구논문을 통해 도미니카공화국의 시바오 계곡을 지나는 셉텐트리오날 단층지대에 지진활동이 매우 활발하다고 경고한 바 있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 관계자는 아이티가 속한 히스파니올라 섬이 두개의 지각 구조 플레이트에 끼여 있으며,북미 플레이트와 카리브해 플레이트가 가위 모양으로 이 섬을 조이면서 압박하는 상황이 벌어지면서 지진이 발생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히스파니올라 섬과 미국령 버진아일랜드,푸에토리코 등 카리브해 지역에는 지난 500년 동안 규모 7.0 또는 그 이상의 대규모 지진이 10여차례 발생했으며 가장 최근에는 1946년 규모 8.0의 지진이 히스파니올라 섬을 강타,쓰나미를 야기하면서 2만명의 이재민을 발생시킨 바 있다고 미 지질조사국은 밝혔다.
멕시코시티=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