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P, 버지니아 ‘동해병기법’에 “교과서정치” 문제 제기

WP, 버지니아 ‘동해병기법’에 “교과서정치” 문제 제기

입력 2014-02-03 00:00
수정 2014-02-03 16:4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사설서 밝혀…”선출직 주의회가 교과서 손대도 되나”

미국 버지니아주(州) 의회가 교과서에 일본해와 동해를 병기하는 법안을 추진하는 가운데 유력 일간 워싱턴포스트(WP)가 이러한 입법행위의 적절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나섰다.

이번 법안이 한국과 일본의 대결 속에 상원과 하원 소위를 통과한 데 이어 하원 상임위와 본회의 관문을 앞둔 가운데 나온 주장이어서 주목된다.

WP는 3일(현지시간) ‘버지니아의 교과서 정치’(Virginia’s textbook politics) 라는 제목의 사설에서 “진화든, 기후 변화든, 일본과 한국 사이에 가로놓인 바다에 대해서든 간에 선출직 공무원들이 교과서에 실리는 지도나 수업계획을 작성해야 하는지에 의구심이 든다”고 밝혔다.

신문은 선거 유세 과정에서 ‘동해병기’를 지지한다고 공약했던 신임 테리 매콜리프(민주) 주지사가 이제는 주요 투자국인 일본의 반대에 직면하면서 ‘난처한 처지’가 됐다고 전했다.

이와 함께 지난 1915년 오스만제국 당시 벌어진 아르메니아인 대학살 문제를 둘러싸고 터키와 아르메니아가 캘리포니아 주의회에서 벌이는 로비전을 거론하기도 했다.

그러면서 신문은 “이 모든 것은 ‘주 입법기관은 고등학교 역사 교과서를 집필하기에 최선의 장소가 아닐지도 모른다’는 시사점을 이끌어 낸다”고 썼다.

신문은 “우리는 공교육 시스템이 궁극적으로 납세자들에게 부응해야 하며 의원들이 이들 납세자를 대표하고 있음을 이해하지만, 이들이 가르치는 역사는 역사가들이 내리는 최선의 판단에 기반을 둬야 한다”고 강조했다.

더불어 “버지니아에는 한인이 많고 일본인은 매우 적다”는 버지니아주 챕 퍼터슨(민주·페어팩스) 상원의원의 발언을 들면서 “(역사가) 이런 사실에 대한 고려에 기반을 둬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이어 “아시아에서의 일본 제국주의의 역사에 대해 배우는 것은 미국인들에게 이익이 된다”면서 “주의회가 교육부에다 이런 논쟁적인 주제를 포용하고, 토론과 탐구를 고취할 커리큘럼을 집필하라고 지시하면 된다”고 제언했다.

이용균 서울시의원, ‘고갯마루어린이공원’ 사계절 복합여가 물놀이공간으로 재탄생 임박

서울 강북구 삼각산동에 위치한 고갯마루어린이공원이 사계절 내내 즐길 수 있는 복합 여가 물놀이 공간으로 새롭게 태어난다. 노후된 시설을 전면 개선하는 이번 사업은 현재 막바지 단계에 접어들며 8월 중 완공을 앞두고 있다. 서울시의회 이용균 의원(더불어민주당, 강북3)은 지난 7월 30일 강북구청 관계자들과 함께 공사 현장을 방문해 진행 상황을 점검하고 성공적인 사업 마무리를 위한 의지를 다졌다. 이 의원은 현장점검을 통해 주요 공정의 추진 현황을 꼼꼼히 살피며 주민 편의와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달라고 당부했다. 이번 고갯마루어린이공원 재조성 사업은 총 15억원의 특별교부금이 투입된 대규모 사업으로, 2023년 11월부터 공사가 본격화됐다. 기존의 단순 놀이공간은 타워형 조합놀이대와 물놀이시설이 어우러진 복합 여가 공간으로 재탄생하며, 커뮤니티 가든, 휴게 데크, 순환산책로 등 주민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편의시설도 함께 조성된다. 특히 어린이를 위한 안전한 물놀이 공간 확보는 물론, 다양한 세대가 어울릴 수 있는 열린 공간으로 꾸며지는 점이 주목된다. 사업 초기부터 지역 주민과의 소통을 중시한 점도 이번 사업의 특징이다. 이 의원과 강북구청은 일부 주
thumbnail - 이용균 서울시의원, ‘고갯마루어린이공원’ 사계절 복합여가 물놀이공간으로 재탄생 임박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