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가 총부채의 10% 넘으면 불허…월가 진출 외국銀도 해당가이트너, 책 발간…”위기 때 씨티銀 국유화도 논의”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가 월가 은행의 통폐합 규모를 제한하는 방안을 마련해 8일(현지시간) 공개했다.이 방안은 금유 위기 재발 방지를 위해 2010년 발효된 금융 규제 강화 틀인 ‘도드-프랭크 법’ 이행의 하나로 마련됐다.
연준이 이날 기자회견에서 공개한 방안은 월가 금융기관이 통폐합할 때 합친 부채가 전체의 10%를 넘으면 허용하지 않는 것이 골자다.
적용 대상은 은행과 은행 지주회사, 저축대부기관, 월가 진출 외국은행 및 예금보험기관인 것으로 설명됐다.
또 연준 산하 금융안정감시위원회(FSOC)에 의해 ‘금융 시스템(에 중요한) 기관’으로 지정된 비은행 금융사에도 해당한다고 덧붙였다.
연준은 오는 7월 8일까지 이 방안에 대한 각계 여론을 수집한다고 밝혔다.
블룸버그가 연준 집계를 인용해 전한 바로는 월가 금융기관의 채무는 약 18조 달러이다. 따라서 통폐합 때 합친 채무가 1조 8천억 달러를 넘어설 수 없다고 블룸버그는 설명했다.
한편, 티머시 가이트너 전 미 재무장관은 곧 발간되는 자신의 책에서 “금융 위기 때 씨티그룹 등 부실 금융기관을 국유화하는 방안을 검토했다”고 밝혔다.
가이트너는 재무장관이 되기 전 2008년 뉴욕 연방준비은행장으로 재직하면서 보험회사 AIG 구제와 리먼 브러더스 도산에 직접 관여했다.
뉴욕타임스(NYT)가 출간에 앞서 먼저 공개한 책 내용에 의하면 가이트너는 당시 헨리 폴슨 재무장관이 여론을 의식해 구제에 난색을 보이자 ‘정부가 나서지 않으면 신뢰에 문제가 생긴다’고 압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이트너는 이와 관련, 자신의 책에서 “씨티그룹을 포함한 부실 금융기관을 국유화하는 문제도 백악관에서 공공연히 거론됐다”고 밝혔다.
그는 치열한 토의 끝에 폴슨과 벤 버냉키 당시 연방준비제도(연준) 의장이 구제하기로 “용단을 내렸다”고 강조했다.
재무장관 퇴임 후 올 초 월가 사모펀드 월버그 핀커스에 합류한 가이트너는 책에서 또 “자신과 당시 백악관경제위원장이던 로런스 서머스가 ‘볼커룰’에 은행의 프랍 트레이딩(자기자본 거래) 금지를 포함하는 데 처음에는 반대했다”고 밝혔다.
’스트레스 테스트: 금융 위기 반향’이란 제목의 이 책은 오는 12일 발매된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