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르웨이 헤예르달이 가져간 이스터섬 유물 돌려주기로

노르웨이 헤예르달이 가져간 이스터섬 유물 돌려주기로

임병선 기자
입력 2019-03-30 00:02
수정 2019-03-30 08:3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노르웨이 탐험가 토르 헤예르달이 칠레 이스터 섬에서 반출한 유물들을 살펴보고 있다. AFP 자료사진
노르웨이 탐험가 토르 헤예르달이 칠레 이스터 섬에서 반출한 유물들을 살펴보고 있다.
AFP 자료사진
노르웨이 탐험가 토르 헤예르달은 1947년 발사(balsa)란 나무로 엮은 뗏목을 타고 페루를 출발해 6000㎞ 떨어진 폴리네시아까지 항해했다. 뗏목의 이름은 콘 티키 호. 유사 이전 중남미 인디오가 남태평양 한가운데로 이주해 뿌리를 내렸음을 입증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얼마 뒤 유전자 분석 결과 폴리네시아인들의 뿌리는 서남아시아 쪽인 것으로 증명됐다.

그런데 허예르달은 1955년부터 다음해까지, 1986년부터 88년까지 칠레 이스터섬(원주민 말로 라파 누이)을 찾았다. 그런데 1956년 노르웨이로 돌아가며 인간 뼈와 조각 등 수천 점의 유물을 가져가 오슬로에 콘 티키 박물관을 열었다. 날강도 같은 짓이나 다름없었다. 그는 87세이던 2002년 세상을 떠났다.

그런데 그의 아들 토르 헤예르달 주니어가 이 유물들을 칠레에 돌려주기로 약속했다고 영국 BBC가 29일(현지시간) 전했다. 주니어가 칠레 수도 산티아고의 국립도서관에서 콘수엘로 발데스 칠레 문화부 장관과 합의문에 서명했다. 그는 AFP 통신과의 인터뷰를 통해 “유물 반환은 아버지가 이것들을 분석하고 (학계에) 발표한 뒤 돌려주기로 한 라파 누이 당국과의 약속을 이행한 것”이라고 말했다.

마르틴 비엘 콘 티키 박물관 관장은 “우리의 공통된 관심사는 유물들이 반환돼, 무엇보다도 훌륭한 시설을 갖춘 박물관에 전달되는 것”이라며 모든 과정이 완료되는 데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더 자세한 내용은 설명하지 않았다.

발데스 장관은 “장관으로서 문화 유산을 되찾겠다는 라파 누이의 요구에 부응하는 것은 의무”라고 말했다. 지난해 11월 라파 누이 대표단이 박물관 측과 접촉해 논의했는데 펠리페 워드 칠레 국유재산 장관도 참여했다. 그는 당시 “많은 전환점 가운데 첫 번째 것을 이룰 것”이라고 말했다. 당시 박물관 대변인은 임대 가능성을 넌지시 비쳤지만, 무기한 유물을 돌려주겠다고 언급한 것도 아니었다.

칠레는 런던 대영박물관도 이스터섬의 웅장한 현무암 석상인 호아 하카나나이를 반환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보통 모아이라고 알려진 이 석상들은 섬의 원주민인 라파 누이 사람들이 뛰어났던 선조들의 영혼을 새긴 것으로 각각은 그 사람의 현생으로 여겨졌다. 최근에는 이 석상들이 식수원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기도 했다.



임병선 기자 bsn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