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이(王毅)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이 북·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2~3일 리용호 북한 외무상의 초청으로 방북한다. 중국 외교부의 30일 왕 부장 방북 발표는 급변하는 한반도 정세에서 ‘차이나 패싱론’이 나오는 상황이라 더 주목을 끈다.
왕 부장은 이번 평양 방문에서 남북 정상회담에 대한 결과를 북한으로부터 통보받고 북·미 정상회담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방북을 조율할 전망이다. 지난 3월 북·중 정상회담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시 주석의 평양 답방을 요청했으며, 조선중앙통신은 시 주석이 흔쾌히 응했다고 보도했다.그러나 이와 관련해 일본 아사히신문은 지난 25일 시 주석이 북·미 정상회담 이전에 방북을 타진했으나, 북한에 거절당했다고 보도했다. 왕 부장은 이 같은 ‘차이나 패싱론’에 대한 우려도 전달할 것으로 보이지만, 장롄구이(張璉) 중국 공산당 중앙당교 교수는 “그동안 중국 외교부는 북핵 문제는 북한과 미국이 직접적으로 소통해 풀어야 할 문제란 입장이었기 때문에 중국이 배제되는 것은 놀랍지 않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를 통해 밝혔다.
베이징 윤창수 특파원 geo@seoul.co.kr
도쿄 김태균 특파원 windsea@seoul.co.kr
왕 부장은 이번 평양 방문에서 남북 정상회담에 대한 결과를 북한으로부터 통보받고 북·미 정상회담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방북을 조율할 전망이다. 지난 3월 북·중 정상회담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시 주석의 평양 답방을 요청했으며, 조선중앙통신은 시 주석이 흔쾌히 응했다고 보도했다.그러나 이와 관련해 일본 아사히신문은 지난 25일 시 주석이 북·미 정상회담 이전에 방북을 타진했으나, 북한에 거절당했다고 보도했다. 왕 부장은 이 같은 ‘차이나 패싱론’에 대한 우려도 전달할 것으로 보이지만, 장롄구이(張璉) 중국 공산당 중앙당교 교수는 “그동안 중국 외교부는 북핵 문제는 북한과 미국이 직접적으로 소통해 풀어야 할 문제란 입장이었기 때문에 중국이 배제되는 것은 놀랍지 않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를 통해 밝혔다.
베이징 윤창수 특파원 geo@seoul.co.kr
도쿄 김태균 특파원 windsea@seoul.co.kr
2018-05-01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