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 한 방울 없는 복수의 끝은 일상이었다

피 한 방울 없는 복수의 끝은 일상이었다

임병선 기자
입력 2023-03-28 00:12
수정 2023-03-28 00:1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독립영화 ‘찬란한 나의 복수’
짜임새 있는 각본으로 눈길

이미지 확대
뺑소니범 임학촌(왼쪽·이영석 분)이 아들을 잃은 형사 류이재(허준석)에게 “세상일은 그냥 우연히 일어나는 법”이라고 대꾸하고 있다. 씨네소파 제공
뺑소니범 임학촌(왼쪽·이영석 분)이 아들을 잃은 형사 류이재(허준석)에게 “세상일은 그냥 우연히 일어나는 법”이라고 대꾸하고 있다.
씨네소파 제공
뺑소니로 아들을 잃은 형사 류이재(허준석 분)는 아내까지 떠나 술로 세월을 보내다 전북 남원으로 전출된다. 다시 인연을 만나 새 출발을 하려 할 즈음, 뺑소니범 임학촌(이영석)과 맞닥뜨린다. 공소시효가 3년 지나 있었다.

‘악이 돌돌 말려 평범함이 돼 버린’ 학촌은 “세상 모든 일은 그냥 일어난다”며 뻔뻔스럽게 잊고 살라고 대꾸한다. 죽을 날이 가까워져 오자 학촌은 핏빛 어린 응징을 하라고 재촉하는데 이재는 피 한 방울 흘리지 않고도 찬란한 복수를 완성한다.

29일 개봉하는 독립영화 ‘찬란한 나의 복수’는 각본의 짜임새가 돋보인다. 2008년 ‘달려라 자전거’로 이름을 알린 임성운 감독이 연출을 맡았다.

임 감독은 지난 22일 간담회에서 “생의 한가운데 허우적거리는 남자를 떠올렸고, 그가 다시 시작할 수 있겠느냐는 생각에서 각본을 시작했다”고 말했다. 요즘 유행하는 ‘복수 문법’과 다르다는 질문에 “처음에는 (핏빛) 복수로 시작했으나 고치고 쓰면서 이재가 일상을 되찾는 것으로 했다. 복수하는 인물은 과거에 지배당하기 마련이고, 일상을 되찾는 길은 용서하는 것밖에 없다. 이재에게 아름다운 일상을 선물해 주고 싶었다”고 털어놓았다.

연극에서 잔뼈가 굵은 이영석 배우의 첫 장편 주역이다. 2003년 ‘선생 김봉두’로 스크린에 데뷔한 그는 ‘마더’, ‘박열’, ‘자산어보’ 등 수많은 영화는 물론 드라마 ‘슬기로운 감빵생활’, ‘나의 아저씨’ 등 120편이 넘는 작품에 출연했다. 이영석은 “그동안 맡은 캐릭터는 폐지 줍는 할아버지나 경비였다. 그런데 이번 작품은 인간이 나빠지면 어디까지 나빠지는지, 어디까지 착해질 수 있는지 무게감 있는 대사가 울림을 줬다”고 말했다.

2023-03-28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