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의 사회적 역할을 실천하는 김광현 서울대 건축학과 교수는 ‘건축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보다는 건축으로 무엇을 할 수 있는지를 따져보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신간 ‘건축 이전의 건축, 공동성’은 그의 40년 건축 행보와 사유를 집대성한 책이다. 건축가와 건축을 하고자 하는 이들의 마음에 함께 자리 잡고 있는 건축을 둘러싼 기대와 희망, 의미가 담겨 있다. 김 교수는 이 공동의 가치를 ‘공동성’이라고 이름 짓고 현장에 늘 있는 공동성이야말로 건축의 본질이며 건축이 있게 하는 원동력이라고 강조한다. 그만큼 우리 사회가 건축의 공동성을 잊고 있으며 건축에 관여하는 이들이 본질에서 벗어나고 있다는 얘기일 게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김 교수는 서문에서 “한국사회에서는 그 어느 때보다도 건축과 사회가 점점 더 멀어지고 있고 함께 해야할 일이 건축가 개인과 그의 작품이라는 사적인 회로 속에 숨어버리고 있음을 너무 자주 본다”면서 “오늘의 건축가는 말로는 사회를 말하지만, 실은 사회에 복종한다는 의미인 경우가 너무 많다”고 말한다. 오늘의 건축을 하는 데 있어 무엇이 중요하고 무엇을 쉽게 말하지 말아야 하는지를 얘기하는 책에는 ‘제대로 숙성되지 못한 채 짧은 시간 동안 덩치만 커버린’ 한국 건축계에 대한 반성과 향후 과제 등이 가감 없이 담겼다.
“우리 건축의 현실은 자기중심적이고, 폐쇄적이며, 분파적이고, 이기적이다. 밖에 대해 이야기를 걸 줄 모르고 심지어는 자신이 받아야 할 대가에 대해서도 아무 말도 못하는 지식집단. 그런데도 ‘통섭’이니 ‘경계를 넘어서’라고? 다 사치스러운 말이다. 이 좋은 말을 작품 설명에 쓰려고 하기보다, 현실에서 해결하시라.”
창간 48주년을 맞는 월간지 ‘공간’(SPACE)이 새롭게 선보이는 단행본 브랜드 ‘공간서가’(SPACE Books)의 첫 책이다.
함혜리 선임기자 lotus@seoul.co.kr
2014-11-22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