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3대 고전 문학가로 꼽혀 한글 소설로 실학파 문학에 큰 영향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소설가인 김만중(1637~1692)은 가사의 정철, 시조의 윤선도와 함께 조선 3대 고전 문학가로 꼽힌다.김만중이 구운몽·사씨남정기 등 한글 소설을 쓴 이유는 소설을 좋아하는 어머니를 위로하기 위해서였다. 특이한 점은 유복자로 태어난 김만중이 어린 시절 수준 높은 한문 실력을 갖추고 있던 어머니 윤씨에게 직접 글을 배웠다는 사실이다. 즉 어머니만을 위해서였다면 구운몽과 사씨남정기 등의 소설을 굳이 한글로 쓸 필요는 없었던 셈이다. 실제 “한글로 쓴 문학이라야 진정한 국문학”이라는 문학관을 피력했던 그는 이 두 한글 소설로 홍길동전의 허균과 함께 조선 후기 서민 문학의 선구자가 됐고, 이후의 실학파 문학에 큰 영향을 줬다.
28세였던 1665년 정시문과에서 장원급제해 관직에 오른 김만중은 조선조 예학의 대가인 김장생의 증손자이자 영의정 김반의 손자, 정축호란 때 강화도에서 순직한 충렬공 김익겸의 아들이었다. 태생부터 기득권 세력인 서인에 속해 있었던 김만중은 관직에 오른 뒤 자연스레 남인과의 권력 투쟁의 중심에 서게 됐다. 이 때문에 홍문관 대제학에 오르는 등 명예로운 자리에 올랐지만, 치열한 권력 투쟁 속에 수차례 삭탈관직과 탄핵, 유배 등 정치적 보복을 당하기도 했다.
이처럼 김만중은 성리학이 지배하는 조선에서도 광해군 이후 명분론과 예학을 철저히 옹호하는 입장에 서 있던 보수적 서인 세력의 중심에 있었지만 문학적 기풍만은 파격적이었다. 그의 작품에 등장하는 주인공들은 주자주의에 대한 회의를 내비치기도 하고 불교적 용어를 거침없이 사용하기도 함으로써 진보적인 성향을 보였다. 또 한글 소설을 연이어 쓰면서 한문으로 써야만 글로 여겼던 당대 분위기에 정면으로 맞섰다.
한편 구운몽은 19세기 청나라에서 ‘구운루’(九雲樓)라는 제목으로 개작됐고, 일본의 메이지 시대에 ‘몽환’(夢幻)이라는 제목으로 번역돼 소개되는 등 국제적 인기를 누린 최초의 한글 소설이다. 또 사씨남정기는 200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언어영역에서 고전소설 지문으로 등장했고, 2008학년도에 다시 출제되기도 했다.
장형우 기자 zangzak@seoul.co.kr
2015-01-13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