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이화 한국사 이야기 개정판 (전22권)/이이화 지음/한길사/총 6664쪽/각 권 1만 4500원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원로 역사학자 이이화(78)씨의 역작 ‘이이화 한국사 이야기’(한길사)의 개정판이 11년 만에 나왔다. 전 22권으로, 개인이 쓴 한국 통사로는 가장 방대하다. 1994년 집필을 시작해 10년 만인 2004년에 완간됐다.
선사시대부터 1945년 해방에 이르기까지 유구한 역사를 철저한 현장 조사와 문헌 고증을 바탕으로 쉽고 재밌게 풀어냈다. 정치사 중심의 역사 서술에서 벗어나 각 시대의 정치·경제·사회·문화를 아우르고 생활사와 문화사를 중심으로 서술해 호평을 받았다.
이씨는 “시리즈 집필을 시작할 때와 달리 일본의 근현대사 왜곡과 중국의 동북공정 움직임이 국제 문제로 다뤄질 정도로 심각해졌다”면서 “역사는 오늘 우리의 이야기인 만큼 현재 강조가 필요한 부분을 보충했다”고 말했다. 고대사에선 중국의 동북공정에 따른 동아시아 역사 왜곡 문제를 집중 부각했다. 동북공정의 일환으로 단군조선과 요하문명론을 연구하는 중국뿐 아니라 평양 중심의 대동강 중심설을 내세우는 북한, 반(反)중국을 기치로 한국 중심의 확대 해석을 펼치는 한국 재야 사학계의 시각을 비판하고 앞으로의 대처 방식을 제시했다.
조선 후기에선 정조 시기의 탕평정책과 문체반정, 동학농민전쟁을 빌미로 시작된 청일전쟁으로 조선이 일본에 편입되는 과정 등을 자세하게 기술했다. 일제강점기에선 일제의 국가범죄인 가미가제, 일본군 위안부와 여성근로정신대 동원 실상과 명칭 문제 등을 대폭 보완했다. 금속활자·판소리 등 문화사, 놀이·풍속·노비 해방의 사회사, 유교사상의 희생양 ‘열녀’에 얽힌 여성사, 3·1운동에 참가한 기생과 어부, 공장 노동자 등 기존 역사책에서 소외된 사람들 이야기도 빠짐없이 다뤘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15-08-29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