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름빵 작가 백희나의 새 그림책 ‘이상한 엄마’ 출간

구름빵 작가 백희나의 새 그림책 ‘이상한 엄마’ 출간

정서린 기자
정서린 기자
입력 2016-03-18 23:06
수정 2016-03-18 23:4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일하는 엄마의 애끓는 마음 담아”

두 아이 엄마 수없이 맞닥뜨린 현실…절실한 마음으로 기적을 만들어

아이가 난데없이 아프다. 엄마, 아빠는 일터에 있다. 믿고 맡길 사람은 없다. 이럴 때 발을 동동거려 본 엄마들은 안다. 얼마나 막막하고 애가 끓는지. 그 순간의 간절한 마음을 아는 ‘엄마 작가’가 그림책으로 멋진 마법을 부려냈다. 데뷔작 ‘구름빵’으로 유명한 백희나(45) 작가가 1년 7개월 만에 낸 신작 ‘이상한 엄마’(책읽는 곰)다.

이미지 확대
엄마의 마음을 아는 ‘엄마 작가’ 백희나는 “어린 아이를 어린이집이나 모르는 사람에게 맡기고 일터로 향하는 ‘직장맘’들의 마음은 얼마나 아프고 불안하겠느냐”면서 “그런 엄마들의 지친 영혼에 한줄기 빛이 됐으면 한다”고 바랐다. 책읽는 곰 제공
엄마의 마음을 아는 ‘엄마 작가’ 백희나는 “어린 아이를 어린이집이나 모르는 사람에게 맡기고 일터로 향하는 ‘직장맘’들의 마음은 얼마나 아프고 불안하겠느냐”면서 “그런 엄마들의 지친 영혼에 한줄기 빛이 됐으면 한다”고 바랐다.
책읽는 곰 제공
호호가 아파서 조퇴했다는 연락을 받은 엄마. 여기저기 전화를 걸어보지만 연결은커녕 잡음만 지직댄다. 그때 누군가 기적처럼 응답한다. 엄마는 친정 엄마라 믿고 다짜고짜 호호를 부탁한다. 호호네 집을 찾아온 사람은 뭔가 수상하다. 얼굴은 몽달귀신처럼 하얗고 비녀를 찔러 넣은 나비 모양 머리는 부담스러울 정도로 예스럽다. 하지만 ‘이상한 엄마’의 ‘이상한 행동’은 점점 집안에 평온한 온기를 불어넣는다. ‘이상한 엄마’가 달걀을 팬에 부치면 집은 따뜻하게 달아오르고, 거품 낸 계란 흰자를 끓는 우유에 떠넣으니 부엌 한쪽에 구름이 몽글몽글 피어오른다. ‘이상한 엄마’가 열이 잔뜩 오른 호호를 눕힌 곳은 커다랗고 푹신한 구름. 호호는 이내 편안한 숨소리를 내며 잠에 빠져든다.

호호 엄마의 상황은 두 아이의 엄마인 백희나 작가 역시 수없이 맞닥뜨리는 현실이다.

“애가 아플 때 엄마는 반은 무당이고 반은 의사여야 한다고 하잖아요(웃음). 재작년 유치원 다니던 둘째가 보름간 입원했을 때 아이를 지키고 있는데 이 이야기가 떠오르더라고요. 아이를 어딘가 맡겨야 하는데 맡길 곳이 없어 막막할 때 지푸라기라도 잡고 싶잖아요. 그 절실한 마음이 기적을 만든 듯한 이야기지요.”

백 작가는 작품을 낼 때마다 새로운 기법을 시도한다. 이번 책은 배경도 캐릭터도 모두 입체로 빚어내다 보니 작업 기간이 1년 반이나 걸렸다. 찰흙의 일종인 스컬피로 캐릭터를 빚어낸 뒤 오븐에 구워내 눈, 코, 입 등을 그려냈다. 옷도 손으로 만들어 입혔다. 실내 배경은 소품을 일일이 다 만들어 세트를 만든 뒤 촬영했다. 사무실 의자 밑에 아무렇게나 널브러진 슬리퍼, 컴퓨터 앞에 덕지덕지 붙은 포스트잇, 냉장고에 붙인 아이의 삐뚤빼뚤한 그림 등 우리 사는 현실의 풍경을 꼼꼼하게 직조해냈다.

“일하느라 모르는 사람에게 아이를 맡겨야 해서 불안한 엄마, 또 처음 보는 사람에게 맡겨지는 아이 모두 현실에 치여서 힘들어한다는 이야기 자체가 우리 현실을 바탕으로 한 거잖아요. 그래서 일부러 ‘디테일’(세부 요소)에 신경을 썼죠.”

백 작가는 독특한 표현력과 상상력으로 아이들에게 사랑받는 이야기꾼이다. 2005년 ‘구름빵’으로 볼로냐 국제 아동 도서전에서 픽션 부문 올해의 작가로 선정됐고 2012년, 2013년에는 그림책 ‘장수탕 선녀님’으로 한국출판문화상, 창원아동문학상을 각각 수상했다. 하지만 그는 아직도 책을 만들 때마다 좌절의 연속이라고 했다.

“이번 책 작업은 특히 ‘구름빵’ 저작권 소송을 치러내느라 더 힘들었어요. 지난 1월 법원에서 단독저작권을 인정받았지만 후련함보다 속상한 마음이 더 컸죠. 내 첫 작품인데 내가 만들었다는 걸 하나하나 증명해야 하니 사람에 대한 신뢰도 무너지고 트라우마가 심했어요. 이번 책도 ‘내가 만들었다는 증거를 다 남겨야 되나’ 하는 생각에 내내 불안했죠. 하지만 저는 제가 보고 싶은 책을 만들어요. 그 책으로 저도 즐거움과 위안을 얻고요. 힘들 때도 많지만 그림책 작가라는 사실 자체가 제겐 커다란 위로이자 영광이에요.”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6-03-19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