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중 기자의 책 골라주는 남자] ‘2년 썼으니 바꿀까?’… 스마트폰도 마음도 고쳐 보세요

[김기중 기자의 책 골라주는 남자] ‘2년 썼으니 바꿀까?’… 스마트폰도 마음도 고쳐 보세요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21-05-13 17:34
수정 2021-05-14 01:3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매주 일요일 저녁이면 재활용 쓰레기를 버립니다. 종이, 페트병, 깡통, 비닐 등이 쌓인 모습을 보면, 참 많이 소비하며 살고 있다는 생각을 합니다. 다음부턴 적게 쓰고 쓰레기도 줄여 보겠다 다짐하지만, 생각대로 잘 안 될 때가 많습니다.

‘줄이는 삶을 시작했습니다’(비타북스)의 저자 전민진씨도 그런 사람이었다 합니다. 어느 날 쓰레기를 최대한 줄이기로 하고, 직접 이를 실천하는 14명을 인터뷰했습니다.

저자는 식물 다양성을 지키기 위해 커피를 마시지 않는 공우석 경희대 지리학과 교수를 시작으로 바닷가 클린업 활동가 김용규·문수정씨, 미니멀리스트의 삶을 실천하는 에린남씨,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요리를 개발하는 신소영 요리사, 제로 웨이스트 숍을 운영하는 송경호씨 등을 만났습니다. 이들에게서 ‘다시 생각하기’(Rethink), ‘조금 더 줄이기’(Reduce), ‘순환하기’(Recycle)라는 공통점을 뽑아 냅니다. 스마트폰은 2년이 지나면 속도가 느려지고, 노트북은 자꾸 다운되며 교체하라는 신호를 보냅니다. 버리지 않고 고쳐 쓴다면 쓰레기를 줄일 수 있을 겁니다.
이미지 확대
독일 국립박물관장이자 물리학자인 볼프강 헤클은 고장 난 변기를 살펴보다 물이 내려가는 원리를 알아내고, 벼룩시장에서 만난 한 수리 장인에게서 자전거 수리법을 배웁니다. 떨어진 가죽 멜빵바지를 고치려고 재봉틀에 낑낑대며 실을 끼우고, 노트북 이어폰 단자에 낀 금속 조각을 꺼내려 유튜브 속 젊은 스승에게 조언을 받기도 합니다. ‘리페어 컬처’(양철북)는 가죽 바지에서부터 자동차까지 그의 수선 과정과 그간의 감정을 담은 에세이집입니다.

물건을 고치려면 구조와 작동 원리를 이해하고 문제를 파악해야 하며, 몰입해 손을 움직여 고쳐야 합니다. 때론 발품을 팔고 시간을 들여야 합니다. 저자는 이 과정이 소중한 이유에 대해 “새 물건을 샀을 땐 얻을 수 없는, 그 이상의 의미와 풍부한 정서를 느낀다”고 답합니다. 사물을 대하는 그의 이런 태도가 모두의 삶의 태도로 자리한다면, 지속 가능한 세상이 꿈은 아닐 겁니다.

gjkim@seoul.co.kr

2021-05-14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