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 사라진 세상, 상상력으로 함께 구해요[어린이 책]

이야기 사라진 세상, 상상력으로 함께 구해요[어린이 책]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23-02-24 01:53
수정 2023-02-24 01:5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야기를 잃어버린 세상에서 생긴 일
구리디 지음/김정하 옮김
주니어 김영사/48쪽/1만 4000원

이미지 확대
이야기꾼이 만든 이야기는 사람과 사람을 이어 주는 긴 선과 같다. 주니어 김영사 제공
이야기꾼이 만든 이야기는 사람과 사람을 이어 주는 긴 선과 같다.
주니어 김영사 제공
주인공 이름이 ‘옛날 옛날에’다. 얼마나 오래전 사람이길래. ‘옛날 옛날에’가 태어났을 때 흩어져 떠돌던 단어들이 미소를 지었고 그가 자라서 단어들을 엮어 문장을 만들고, 문장을 모아 이야기를 만들었다.

이야기들은 사람들의 평범한 일상을 잊을 수 없는 순간으로 바꿨다. 사람들은 ‘옛날 옛날에’에게 답례로 복잡하고 길고 이상한 단어를 잔뜩 선물했다. 그런 단어들로도 새롭고 놀라운 이야기가 나왔다. 그런데 어느 날 갑자기 ‘옛날 옛날에’가 입을 다물어 버렸다.

이야기가 끊긴다고 무슨 큰일이 나겠냐고 대수롭지 않게 생각할 수 있겠지만 웬걸, 어떤 사람은 세상이 끝났다고 떠들고 다른 사람들은 이유 없이 서로를 비난하고 싸우기 시작했다. 의사는 ‘바이러스 때문이니 며칠만 지나면 괜찮아진다’고 진단했지만 ‘옛날 옛날에’의 입은 열리지 않았다. 결국 세상은 깊은 침묵에 빠져 버린다.
이미지 확대
스페인 작가 라울 니에토 구리디는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는 이야기와 이야기를 끝없이 이어지게 만드는 상상력의 힘을 그의 장기인 자유로운 선과 간결한 색으로 표현하고 있다.

그림이 큼직큼직하고 글자도 많지 않아 아이들에게 읽어 주기 딱 좋다. 아이들과 함께 읽으면서 ‘옛날 옛날에’는 어떤 사람인지, 어떤 이야기를 만들었을지, 왜 다시는 이야기를 못 하게 됐는지, 마을 사람이 잘못한 것은 없는지 등 상상의 나래를 한없이 펼칠 수 있을 것이다. 이야기가 사라진 마을을 아이와 함께 구하는 상상은 어떨까.

그런데 ‘옛날 옛날에’는 영영 이야기를 만들지 못했을까. 마지막 장에 놀라운 반전이 기다리고 있으니 끝까지 긴장을 늦추지 말기를.

2023-02-24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