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로 빚 갚는 천금 같은 안내서

어원의 발견
‘어원의 발견’(사람in)은 문학작품 속 문장을 통해 흔히 쓰는 말의 본뜻과 역사를 살핀다. 예컨대 사람을 놀릴 때 쓰는 ‘얼레리꼴레리’는 ‘알나리깔나리’가 표준어인데, 어리고 키가 작은 사람이 벼슬해 관복을 입은 모양새가 우습다며 농담하던 ‘아이 나리’에서 유래했다. 깔나리는 운율을 맞추기 위해 붙였다. 이처럼 어원을 찾아가는 과정에 우리말 맛과 역사를 알면서 인문학적 사고의 지평을 넓힐 수 있다.

말과 글을 살리는 문법의 힘

외래어 대신 쉬운 우리말로!
저자들은 “우리말을 쓸 때 중요한 것은 자신이 다른 사람을 배려하는 말을 쓰고 있는지 생각해야 한다는 점”이라고 강조하면서 우리말을 다듬어 사용해야 더 원활한 소통을 할 수 있다고 말한다.
2023-08-07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