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눗방울 퐁
이유리 지음/민음사
340쪽/1만 5000원
레프 톨스토이(1828~1910) 소설 ‘안나 카레니나’의 첫 문장. “행복한 가정은 비슷한 이유로 행복하고 불행한 가정은 저마다의 이유로 불행하다.” 사랑도 마찬가지다. 한창 사랑할 땐 비슷한 이유로 행복하지만 헤어질 땐 저마다 사랑을 이어 갈 수 없는 복잡한 이유가 생겨난다. 심지어 하나의 이별 안에서도 두 사람 각자 헤어지기를 결심하는 이유가 다를 것이다. 요컨대 이 세상에는 사랑보다 이별의 종류가 훨씬 많다.
이유리(34)의 새 소설집 ‘비눗방울 퐁’은 과거와 미래, 현실과 환상을 넘나들며 여러 이별의 단면을 들춘다. ‘아름다운 이별’은 영화나 드라마에나 있는 것이다. 실제 이별은 너무 아프고 그 앞에서 평정심을 유지할 수 있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다. 이별은 되돌릴 수도 없고 그 슬픔은 피할 길도 없다. 피하려고 할수록 더욱 비참해질 뿐이다. 소설에서 이유리는 이렇게 말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이별을 극복하는 데에 편법은 없다고. 오로지 정공법만 있다고. 온몸으로 충분히 슬퍼해야 한다고.
이유리
“성재가 떠났다. 내게는 텅 빈 집과 아픈 고양이, 그리고 아무짝에도 쓸모없는 사랑이 남았다.”(‘내게 남은 사랑을 드릴게요’ 81쪽)
단편 ‘내게 남은 사랑을 드릴게요’는 기묘한 설정이 돋보인다. 가수 장혜리가 불렀던 동명의 가요에서 영감을 받았지만, 노래와는 전혀 다른 방향으로 소설은 흘러간다. 남자친구와 헤어진 수진은 비참한 생활을 이어 간다. 키우던 고양이 순대는 나날이 병이 심해지고 막대한 병원비를 감당할 길이 없다. 그러던 중 친구 영인에게 전화가 온다. 남편의 외도로 충격을 받은 영인은 어찌어찌 그를 용서키로 했지만, 예전처럼 그를 사랑하는 건 역시 불가능하다. 수진의 감정을 영인에게 옮겨 준다면 어떨까. 서로 ‘윈윈’일 테니까. 마침 소설 속 세계에서는 감정을 다른 사람에게 전이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영인이 순대의 병원비를 대주는 조건으로 수진은 자기의 감정을 영인에게 이전한다. 기대했던 대로 아름다운 결말을 맞을 수 있을까.
“우리는 매달 각각 이백만 원 정도를 번다. 둘이 합하면 사백만 원. 월세에 관리비, 각종 공과금, 보험료, 휴대폰과 텔레비전과 인터넷, 거기에 교통비와 식비를 제하면 백오십만 원 정도, 아니 대부분 그보다 적게 남는다.… 둘 중 하나가 수입이 끊기거나 병이 들거나 크게 다친다면 봄볕에 눈 녹듯 녹아 사라질 돈이다. 노후를 대비할 수 없는 돈이다. 서로에게 기댈 수 없는 돈이다.”(‘보험과 야쿠르트’ 185~6쪽)
단편 ‘보험과 야쿠르트’는 40대 여성 레즈비언 커플의 이야기다. 스스로 “늙고 가난한 레즈비언”으로 규정하는 그들은 한 명은 보험을 팔고 다른 한 명은 야쿠르트를 판다. 요약하면 보험을 파는 레즈비언과 야쿠르트를 파는 레즈비언이 함께 사는 내용이다. 그러나 레즈비언인 게 뭐 별건가. 그들의 ‘퀴어함’은 그들을 먹여살려 주지 않는다. 동성혼 법제화 어쩌고 하는 것들은 생활인으로서 이들이 느끼는 고됨과 막막함 다음에 오는 것이다. 사랑은 위대하지만 어쩌면 아무것도 아닐 수 있다. ‘사랑은 모든 것을 이긴다’(Love Wins All)는 구호는 생활고 앞에서 아무런 힘을 발휘하지 못한다.
2020년 일간지 신춘문예를 통해 등단한 이유리는 소설집 ‘브로콜리 펀치’ 등을 펴내며 왕성한 활동을 펼치고 있는 작가다. 어느 날 달리기를 하다가 넘어져 무릎 수술을 하게 된 주인공이 무릎 안으로 들어온 외계인과 대화하게 된다는 설정의 단편 ‘달리는 무릎’의 한 구절. 그래도 이유리가 이별의 절망 넘어 사랑의 희망이 있음을 말하고 있는 것으로 읽힌다.
“물론 처음에 달리기 시작할 때까지만 해도 과연 이게 소용이 있는 짓일까 생각하긴 했지만 달리기 시작하면 그런 잡념은 이윽고 사라졌고 달리는 행위 그 자체에만 집중하게 되었다.… 달린다는 것은 뭐랄까, 몇 초 전의 나를 끊임없이 뒤에 두고 오는 일 같았다. 아주 조금씩이지만 그걸 반복해 나가면 결국 어느 순간 과거의 나와 전혀 다른 내가 되어 발 앞의 공간으로 내뻗어질 수 있는 거였다.”(‘달리는 무릎’ 225쪽)
2024-11-15 24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