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앞 맛있는 육포, 시인의 부름에 곱씹다 보면 또 다른 맛에 ‘군침’

눈앞 맛있는 육포, 시인의 부름에 곱씹다 보면 또 다른 맛에 ‘군침’

손원천 기자
손원천 기자
입력 2025-01-17 00:43
수정 2025-01-17 00:4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부드러운 재료
김리윤 지음/봄날의책
256쪽/1만 8000원

이미지 확대


우리는 날마다 어딘가에서 뭔가를 본다. 살아 있다는 건 뭔가를 목격하는 것과 견고하게 엉켜 있으니까. 전시회에 걸린 그림 한 점이나 영화의 스틸 컷 한 장을 보며, 혹은 책 속 한 문장을 읽고 한 조각의 생각을 떠올리는 것쯤은 누구나 할 수 있다. 한데 이를 밑천 삼아 의식과 주제가 듬뿍 담긴 글을 쓴다는 건 다른 차원의 문제다. 아무나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그 어려운 일을 새책 ‘부드러운 재료’는 해낸다. 그것도 아무렇지 않다는 듯이.

‘부드러운 재료’는 시인인 저자가 처음 펴낸 산문집이다. 사진, 그림, 조각, 영화, 전시, 책 등 온갖 곳에 흩뿌려진 말과 글을 ‘재료’ 삼아 만들어졌다. 예컨대 태국 출신 아피찻퐁 위라세타꾼 감독의 ‘블루’와 ‘에메랄드’라는 영화의 한 장면에서 모티브를 얻어 ‘미만의 미정’이란 글을 쓰고, 독일 사진작가 볼프강 틸만스의 사진 ‘웨이크’와 이민휘의 음반 ‘미래의 고향’ 등에 흥이 동해 ‘두려움과 함께 보기’라는 글을 만들어 내는 식이다.

이미지 확대
시인 김리윤
시인 김리윤


저자가 쓴 글은 다양한 형태를 하고 있다. 서간문이기도 하고 가상의 인터뷰이거나 시의 모양새를 할 때도 있다. 중요한 건 새로 태어난 글들이 모티브가 된 것들을 원본 삼으려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저자는 이를 이렇게 표현했다. “‘부드러운 재료’는 입구를 내어준 공간으로부터, 작품으로부터 멀어지며 입구를 희미하게 만들려 한다”고.

시인이 쓴 산문들은 시적이다. 곱고 절제된 언어, 과감한 생략 덕에 문장 곳곳에 운율과 생명이 넘친다. 다만 문해력 짧은 장삼이사들이 단박에 이해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어쩌면 여러 번 곱씹어도 소화가 안 될는지 모르겠다.

책의 편집자는 여러 산문 중 ‘미만의 미정’, ‘두려움과 함께 보기’, ‘소진되지 않은 덩어리’, ‘표면을 뒤집으며 떠다니기’를 “좀더 눈여겨보아 달라”고 주문한다. 책 전체가 아닌 특정 부분에 주목해 보라는, 퍽 이례적인 요청이다. 왜 그런지 설명은 없으니 각자 찾아내시길.

모든 것은 완성이 선언된 이후에도 재료로서의 미래를 품고 있다. 지금 당신 눈앞에 있는 맛있는 육포는, 혹은 산미 가득한 커피는 완성된 그 자체로만 존재하지 않는다. 시인의 부름에 이끌려 또 다른 재료로 활용될 수 있는 것이다. 저자는 이런 말로 책을 맺는다. “이 책 역시 다시 재료가 될 것이며, 이미 재료이기도 하다.” 이 맺음말의 제목이 ‘부드러운 재료’다.
2025-01-17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