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이 몇 장만 들고 46분간 브리핑
첫 질문권 온라인 매체에 줘 파격
“인플루언서 등에 브리핑실 개방”
하루 새 7400명 이상 출입증 신청
![‘미국 최연소 백악관 대변인’ 캐럴라인 레빗이 지난 28일(현지시간)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첫 번째 언론 브리핑을 진행하고 있다. 워싱턴 AFP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1/30/SSC_20250130235533_O2.jpg.webp)
워싱턴 AFP 연합뉴스
![‘미국 최연소 백악관 대변인’ 캐럴라인 레빗이 지난 28일(현지시간)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첫 번째 언론 브리핑을 진행하고 있다. 워싱턴 AFP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1/30/SSC_20250130235533_O2.jpg.webp)
‘미국 최연소 백악관 대변인’ 캐럴라인 레빗이 지난 28일(현지시간)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첫 번째 언론 브리핑을 진행하고 있다.
워싱턴 AFP 연합뉴스
워싱턴 AFP 연합뉴스
1997년생으로 ‘미국 역사상 최연소 백악관 대변인’에 오른 캐럴라인 레빗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첫 언론 브리핑을 열고 ‘데뷔전’을 치렀다.
레빗 대변인은 지난 28일(현지시간) 백악관 언론 브리핑실에서 백악관 출입 언론 매체들을 상대로 46분간 브리핑을 가졌다. 역대 백악관 대변인들이 두꺼운 서류철을 가져오던 것과 달리 그는 종이 몇 장만 들고 나타났다. 앞서 레빗 대변인은 언론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이 머릿속에 다 들어 있기 때문에 다른 문서가 필요하지 않다”고 말했다.
그는 이날 첫 질문권을 온라인 매체인 악시오스와 브레이트바트에 줬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백악관 기자회견의 첫 질문을 AP통신 출입 기자가 하던 관행을 깼다”고 했다.
레빗 대변인은 “백악관은 (언론 자유를 보장한) 수정헌법 제1조를 강력하게 믿는다”면서 “우리는 이 브리핑실을 뉴스 관련 콘텐츠를 생산하는 뉴미디어와 이 방에서 기자석을 확보하지 못한 매체에 개방한다”고 깜짝 선언했다.
이어 “우리는 독립 언론인들과 팟캐스트 운영자, 소셜미디어(SNS) 인플루언서,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백악관 취재를 위해 출입증 발급을 신청하는 것을 환영한다”고 설명했다. 그가 백악관 취재 문호를 넓히겠다고 밝힌 지 하루 만에 7400명 이상이 출입증 발급 신청을 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29일 보도했다.
레빗 대변인의 파격 행보를 두고 ‘미 기성 언론 매체들과 마찰을 빚어 온 트럼프 대통령의 언론관이 반영됐다’는 해석이 나온다. 대선 기간에 트럼프 대통령은 공화당 지지 성향 팟캐스트 등에 출연하는 등 1인 미디어를 활용해 왔다.
레빗의 첫 브리핑에 대해 CNN방송은 “(트럼프처럼) 사실을 과장하고 조 바이든 전 대통령을 폄하했다”고 비판했다. 반면 뉴욕타임스(NYT)는 “표현에 있어서 두려움이나 모호함이 없었다. 상사(대통령)를 자신 있게 대변했다”고 칭찬했다.
레빗은 뉴햄프셔의 세인트 안젤름대에서 언론학과 정치학을 전공했다. 대학 재학 시절 인턴으로 백악관에 몸담았다가 트럼프 행정부와 연을 맺었다. 지난해 11월 대선 뒤 차기 백악관 대변인으로 지명됐다. 종전 최연소 대변인은 리처드 닉슨 전 대통령 시절의 론 지글러로 당시 29세였다.
2025-01-31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