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스킨드 옥스퍼드대 교수
“전문가는 전문 분야에서 지식을 새롭게 유지할 뿐만 아니라 실용적 전문성을 전달할 새로운 방식을 예측하기 위해 능력, 기법, 기술을 개발해야 한다. 그러려면 ‘연구개발자’가 많이 필요할 것이다. 오늘날 전통적 전문가가 되려는 학생들은 필연적으로 지식공학자로 일하게 될 것이다.”![대니얼 서스킨드 옥스퍼드대 교수](https://img.seoul.co.kr/img/upload/2017/10/10/SSI_20171010172556_O2.jpg)
![대니얼 서스킨드 옥스퍼드대 교수](https://img.seoul.co.kr//img/upload/2017/10/10/SSI_20171010172556.jpg)
대니얼 서스킨드 옥스퍼드대 교수
그는 4차 산업혁명의 기술혁신이 전문가의 일과 정체성, 업무환경 등을 송두리째 바꿔 놓을 것이라고 강조한다. 전문가의 작업이 ‘한 덩어리’였다면, 작은 단위로 해체되면서 기계와 준전문가들에게 위임될 거라고 분석한다. 물론 기계는 인간의 작업보다 높은 효율을 낼 것이며, 인간과 기계의 경쟁은 무의미해질 것이라고 진단한다. 이 때문에 노동력 거래 방식도 과거 시간당 청구 방식에서 결과에 따라 받는 방식으로 바뀔 것으로 예측한다. 또 일부 전문직 일자리가 사라질 것이라는 분석도 제시한다.
그러나 서스킨드 교수는 전문직의 종말을 고하지 않는다. 전문직에 대한 새로운 지평이 열릴 뿐이다. 이런 관점에서 서스킨드 교수는 4차 산업혁명 이후 전문직의 역할과 갖춰야 할 능력도 재정립한다. 전문가는 기술 변화에 따라 자신의 일 자체가 재구성될 수 있기에 모든 것을 받아들일 수 있는 ‘유연성’을 갖춰야 하며, 의사소통 능력과 빅데이터 처리 능력도 갖춰야 한다는 것이다. 결국 기술 변화에 따라 전문직은 사라지고 갈라지고 세분화되겠지만, 그럼에도 여전히 인간이 맡아야 할 일은 분명히 존재할 것이라며 여기서 발생하는 윤리·소유의 문제에 대해서도 물음을 던지고 있다.
이성원 기자 lsw1469@seoul.co.kr
2017-10-11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