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의 향연-옛 선비들의 블로그] “시문 모두 불태워라” 유언… 동생 허균이 기억하던 시 모아 문집 엮어

[고전의 향연-옛 선비들의 블로그] “시문 모두 불태워라” 유언… 동생 허균이 기억하던 시 모아 문집 엮어

입력 2018-09-10 17:44
수정 2018-09-10 18:3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난설헌시집은

이미지 확대
허균이 공주목사로 있던 선조 41년(1608) 간행한 난설헌시집 목판본. 둘째 칸 하단에 ‘막내아우 허균이 정수만을 모았다’(季弟許筠 彙粹)고 적었다. 허난설헌은 살아생전 많은 작품을 지었지만, 자신의 시문을 모두 불태워 달라는 유언으로 남은 작품이 그리 많지 않다.
허균이 공주목사로 있던 선조 41년(1608) 간행한 난설헌시집 목판본. 둘째 칸 하단에 ‘막내아우 허균이 정수만을 모았다’(季弟許筠 彙粹)고 적었다. 허난설헌은 살아생전 많은 작품을 지었지만, 자신의 시문을 모두 불태워 달라는 유언으로 남은 작품이 그리 많지 않다.
허난설헌은 자신의 시문을 모두 불태워 달라는 유언을 남겼다. 자신이 꿈꾸었던 ‘미완의 세상’에 대한 세인의 시비가 부질없다고 여긴 까닭일 터다. 동생 허균은 그런 누이를 추억하며 자신이 기억하고 있던 시를 모아 문집을 엮고, 명나라 주지번의 서문을 받아 간행했다. 그녀의 시는 임진왜란 때 들어온 명나라 오명제를 통해 중국에까지 전해졌고, 일본에서도 간행되어 애송됐다. 한국고전번역원에서 펴낸 ‘한국문집총간’의 ‘난설헌시집’(중간본·1608년)에 모두 210수가 실렸다.



2018-09-11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