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혜리 선임기자의 미술관 건축기행] 돌·유리·강철 즐겨 사용… 추상적 기하학 디자인 정평

[함혜리 선임기자의 미술관 건축기행] 돌·유리·강철 즐겨 사용… 추상적 기하학 디자인 정평

입력 2014-06-25 00:00
수정 2014-06-25 04:2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I M 페이는

국제 건축계에서 I M 페이(97)로 더 잘 알려진 중국계 미국인 건축가. 돌, 콘크리트, 유리, 강철 등을 즐겨 이용하는 그는 정교하고 추상적인 형태의 기하학적 디자인으로 정평이 나 있다. 중국 광저우의 유복한 가정에서 태어났다.

이미지 확대
무색의 투명한 유리와 알루미늄 트러스로 완성된 유리 피라미드 내부. 모더니즘 건축의 마지막 거장으로 손꼽히는 I M 페이는 기하학적 디자인으로 정평이 나 있다. 페이 콥 프리드 앤 파트너스 제공
무색의 투명한 유리와 알루미늄 트러스로 완성된 유리 피라미드 내부. 모더니즘 건축의 마지막 거장으로 손꼽히는 I M 페이는 기하학적 디자인으로 정평이 나 있다.
페이 콥 프리드 앤 파트너스 제공
은행가인 아버지(훗날 중국은행 은행장과 중국중앙은행 총재 역임)가 상하이로 전근을 가면서 가족이 상하이 인근 쑤저우로 이주해 홍콩 세인트폴스 컬리지와 세인트존스대학을 다녔다.

I M 페이
I M 페이
18세에 미국으로 이주해 펜실베이니아대학에서 건축을 공부했고 1940년 매사추세츠 공과대학에서 건축학사 학위를 받은 뒤 하버드대 디자인대학원에 진학해 공부했다.

1946년 건축학 석사 학위를 받고 하버드대학에서 조교수로 일하던 그는 1948년 부동산 개발업자인 윌리엄 제켄도프를 만나면서 전환기를 맞는다. 제켄도프가 운영하는 웹앤냅(Webb and Knap)에서 일하며 대규모 건축설계와 도시계획을 담당하는 동안 비즈니스로서의 건축을 배움으로써 경제적 성공과 건축적 명성을 동시에 성취한 건축가가 된다.

마일하이센터(덴버, 1955), 미국 국립대기연구센터(1961), 존 F 케네디 도서관(매사추세츠, 1979), 미국내셔널갤러리 동관(워싱턴, 1978), 인디애나 미술관(1978), 보스턴 미술관(1981) 등이 있다. 루브르 박물관의 유리 피라미드 (1989), 홍콩 중국은행타워(1990), 미국 로큰롤명예의 전당(1995)에서 보듯이 공간에 대한 기하학적 해결책으로 사람들에게 감동을 준다. 건축계의 노벨상으로 일컬어지는 프리츠커상(1983)을 수상했으며 지난 10일 파리에 본부를 둔 국제건축연맹(UIA)은 “지난 60여년간 전 세계에서 작품과 삶을 통해 건축적 엄격성과 역사와 시간, 공간을 초월해 정신적 연결을 추구하는 현대건축의 진수를 보여 준 공로”로 그에게 최고 영예의 UIA 금메달을 수여했다.

lotus@seoul.co.kr
2014-06-25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