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의도 블로그]‘3일천하’ 조기 전대론

[여의도 블로그]‘3일천하’ 조기 전대론

입력 2010-01-26 00:00
수정 2010-01-26 00:4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너무 엉성한 시나리오… 친이·친박 모두 손사래

당을 뒤흔들 것 같던 한나라당 조기 전당대회론이 막이 오르기도 전에 사실상 퇴출됐다. 채 3일도 가지 못했다. 친이도, 친박도 모두 손사래를 치면서 ‘조기 종영’된 셈이다.

한나라당에서 조기 전대론이 이렇게 빨리, 분명하게 소멸되기는 처음이다. 지난해 별다른 동인이 없어도 최소 몇 주는 당을 들썩이게 한 이슈였다. ‘세종시’라는 지렛대로도 힘 한번 쓰지 못했다. 이는 정치공학적으로 보자면 그만큼 엉성한 시나리오였다는 얘기이기도 하다.

이번 해프닝의 전모는 아직 분명치 않다. 다만 친박 일각이 진원지임은 분명해 보인다. 친이가 조기 전대를 싫어하니 한 번 해보자며 압박도 해보고, 정몽준 대표 쪽의 공격이 심하니 정 대표에 반격도 해보자는 취지 아니겠느냐는 해석들이 나왔다.

세종시를 놓고 친이 쪽의 공세가 심해지자 수세를 모면하기 위한 ‘불끄기용 발언’쯤으로 여기는 시각들이다. 그러나 ‘꾼’들 사이에선 일부 의원이 6·2 지방선거를 앞두고 공천권 행사 등을 위해 조기 전대설을 유포했다는 분석까지 나돌기도 했다.

아무리 우습게 끝난 논의일지언정, 무위(無爲)로 끝나는 정치 행위는 없다. 한나라당에서는 적어도 당분간은 조기 전대론이 재부상할 가능성이 크게 줄었다.

세종시 문제로는 전당대회를 열어서도 안되고, 열 수도 없다는 데 양 쪽의 이해가 맞아떨어졌다. 친이·친박이 이렇게 빠르게 이해관계의 일치를 확인한 일도 드물다.

주류 핵심으로서는 정치 불안 요소 하나를 걷어낸 효과가 생겼다. ‘정몽준 체제’를 계속 끌고가든, 새로운 체제를 꾸리든 주도적으로 대처할 여지가 많아졌다는 얘기다.

사실 현 시점에서 조기 전대는 정치 일정상 실현되기는 누가 봐도 쉽지 않았다. 한 실세 의원은 25일 “정 대표와 주류 핵심 간의 충돌 말고는 조기 전대 가능성은 제로”라고까지 말했다. 그럼에도 조기 전대가 계속 수면 언저리에 머물렀던 이유는 ‘정치의 가변성’ 때문이었다. 이제 그 조기전대가 빠르게 물밑으로 가라앉고 있다.

어디에선가, ‘카드를 섣불리 꺼냈다.’는 탄식이 나올지 모른다.

이지운 주현진기자 jj@seoul.co.kr
2010-01-26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