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5일 전격적으로 이뤄진 검찰의 국회의원 사무실 압수수색에 대해 전혀 예상치 못했다는 반응이다.
최근 검찰의 전방위 수사가 여러 갈래로 이뤄지면서 본격적인 ‘사정정국’으로 가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기는 했지만,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앞두고는 내심 검찰이 ‘속도조절’을 할 것으로 내다봤기 때문이다. 대신 G20회의 이후 검찰의 수사에 가속도가 붙을 것이라는 전망이 청와대 내부에서도 유력했다. 하지만 예상과 달리 검찰이 G20을 일주일도 채 안 남긴 상황에서 현역 의원 사무실까지 압수수색하는 과감성을 보인 것에 대해 의외라는 분위기다.
일각에서는 청와대와의 사전교감설도 제기됐지만, 청와대 민정라인조차 압수수색영장이 발부된 직후에야 사실관계를 파악한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검찰에서 명백한 범법 사실을 확인한 만큼 영장을 집행한 것 아니겠느냐.”면서 “청와대는 검찰이 영장을 집행하고 나서야 내용을 파악했다.”고 말했다. 실제로 이번에 압수수색이 집행된 의원들의 경우 1000만원 이상의 후원금을 받았으며, 보좌관 등의 구체적인 혐의사실이 파악된 경우가 대상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관계자는 “G20 회의가 끝난 뒤 (검찰이)본격적인 움직임을 보일 것으로 예상했지만, 검찰이 빠르게 움직인 것은 확실한 증거가 나왔기 때문이 아니겠느냐.”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검찰의 수사에 한층 탄력이 붙으면서 정치권을 중심으로 ‘사정한파’가 한층 매섭게 몰아칠 것으로 예상된다. 일부에서는 이른바 ‘대포폰’ 문제가 계속 불거지고 여권이 궁지에 몰리면서 국면전환을 위한 시도가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청와대의 다른 관계자는 그러나 “말도 안 되는 소리며, 오히려 그런 시도를 하다가는 예상 외의 역풍을 맞을 수 있다.”고 반박했다.
김성수기자 sskim@seoul.co.kr
최근 검찰의 전방위 수사가 여러 갈래로 이뤄지면서 본격적인 ‘사정정국’으로 가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기는 했지만,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앞두고는 내심 검찰이 ‘속도조절’을 할 것으로 내다봤기 때문이다. 대신 G20회의 이후 검찰의 수사에 가속도가 붙을 것이라는 전망이 청와대 내부에서도 유력했다. 하지만 예상과 달리 검찰이 G20을 일주일도 채 안 남긴 상황에서 현역 의원 사무실까지 압수수색하는 과감성을 보인 것에 대해 의외라는 분위기다.
일각에서는 청와대와의 사전교감설도 제기됐지만, 청와대 민정라인조차 압수수색영장이 발부된 직후에야 사실관계를 파악한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검찰에서 명백한 범법 사실을 확인한 만큼 영장을 집행한 것 아니겠느냐.”면서 “청와대는 검찰이 영장을 집행하고 나서야 내용을 파악했다.”고 말했다. 실제로 이번에 압수수색이 집행된 의원들의 경우 1000만원 이상의 후원금을 받았으며, 보좌관 등의 구체적인 혐의사실이 파악된 경우가 대상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관계자는 “G20 회의가 끝난 뒤 (검찰이)본격적인 움직임을 보일 것으로 예상했지만, 검찰이 빠르게 움직인 것은 확실한 증거가 나왔기 때문이 아니겠느냐.”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검찰의 수사에 한층 탄력이 붙으면서 정치권을 중심으로 ‘사정한파’가 한층 매섭게 몰아칠 것으로 예상된다. 일부에서는 이른바 ‘대포폰’ 문제가 계속 불거지고 여권이 궁지에 몰리면서 국면전환을 위한 시도가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청와대의 다른 관계자는 그러나 “말도 안 되는 소리며, 오히려 그런 시도를 하다가는 예상 외의 역풍을 맞을 수 있다.”고 반박했다.
김성수기자 sskim@seoul.co.kr
2010-11-06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