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보도·종편 정책토론회
5일 서울 여의도 의원회관에서 민주당 주최로 열린 ‘긴급 종합편성·보도채널 선정 관련 정책토론회’에서는 을지병원·학원의 보도채널 주주 참여에 대한 비판이 빗발쳤다.![“보도채널 선정 잘못” 5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종합편성 및 보도채널 사업자 선정 관련 토론회에서 조준상(오른쪽 두 번째) 언론개혁 시민연대 사무총장이 연합뉴스의 보도채널 사업자 선정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다. 이호정기자 hojeong@seoul.co.kr](https://img.seoul.co.kr/img/upload/2011/01/05/SSI_20110105174949.jpg)
5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종합편성 및 보도채널 사업자 선정 관련 토론회에서 조준상(오른쪽 두 번째) 언론개혁 시민연대 사무총장이 연합뉴스의 보도채널 사업자 선정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다.
이호정기자 hojeong@seoul.co.kr
![“보도채널 선정 잘못” 5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종합편성 및 보도채널 사업자 선정 관련 토론회에서 조준상(오른쪽 두 번째) 언론개혁 시민연대 사무총장이 연합뉴스의 보도채널 사업자 선정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다. 이호정기자 hojeong@seoul.co.kr](https://img.seoul.co.kr//img/upload/2011/01/05/SSI_20110105174949.jpg)
“보도채널 선정 잘못”
5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종합편성 및 보도채널 사업자 선정 관련 토론회에서 조준상(오른쪽 두 번째) 언론개혁 시민연대 사무총장이 연합뉴스의 보도채널 사업자 선정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다.
이호정기자 hojeong@seoul.co.kr
5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종합편성 및 보도채널 사업자 선정 관련 토론회에서 조준상(오른쪽 두 번째) 언론개혁 시민연대 사무총장이 연합뉴스의 보도채널 사업자 선정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다.
이호정기자 hojeong@seoul.co.kr
우석균 보건의료단체연합 정책실장은 “을지병원은 연합뉴스에 일부 투자가 아닌 주요 주주로 4.9%나 참여하고 있고, 을지재단(9.9%)까지 합치면 15%나 차지해 사실상 경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면서 “현행 법상 의료 광고가 금지돼 있는데 5%라는 매우 중요한 주주인 을지병원에 대해 연합뉴스가 간접 광고, 홍보성 광고를 하지 않겠느냐.”고 지적했다.
특히 “광고비 지출이 가능한 대형 병원들이 주주에 참여하면 대학 병원 ‘쏠림 현상’을 가속화시킬 수 있고, 그에 따른 부담이 전적으로 환자 등 국민에게 온다.”면서 “환자 편의를 위해 부대시설 등의 투자로 한정하라는 의료법 시행령 20조, 영리행위 금지 조항 취지를 곡해한 해석”이라고 비판했다.
김승수 전북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연합뉴스가 원래 YTN을 만든 건데 운영을 잘못해서 분리한 것 아니냐.”면서 “이미 실패로 끝났는데 또다시 허가해주는 것이 말이 되느냐.”고 말했다. 이효성 성균관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도 “과거에 경영이 어렵다고 YTN을 버려놓고 다시 달라는 건 문제가 있다.”고 짚었다.
김성균 언론소비자주권국민캠페인 대표는 “신문산업 등이 어려운 상황에서 연합뉴스도 돌파구가 필요했겠지만 공적 기금을 받는 통신사로서 제공하는 1차 자료에 친정부 편항적인 내용이 담기는 등 공정성에 문제가 많아 파급력이 클 것 같다.”고 밝혔다.
무더기 종편 채널 선정이 낳을 부작용에 대한 우려도 나왔다. 김 교수는 “여론 독과점이 강화될 것”이라고 말했고, 이 교수는 “KBS 등 방송의 광고 시장 선점 과열로 프로그램의 저질화 등 영상산업 발전이 오히려 후퇴될 것”이라고 봤다. 대다수 전문가들은 행정 절차가 끝난 상태인 만큼 결과를 뒤집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점에 더욱 깊이 우려를 표시했다.
앞서 민주당 박지원 원내대표는 토론회에서 ‘잘될 회사는 잘되고 못될 회사는 인수합병(M&A) 하면 된다.’는 정부 당국자 말을 인용하며 “무책임한 이명박식 삽질 경제의 결과”라면서 “여론 독점, 시장 붕괴로 국민은 오도된 여론을 들을 것이고 경영 악화로 국민 부담만 늘 것”이라고 비난했다. 진보신당은 “종편 결과로 의약품 등 방송 광고 금지 품목이 완화되면 약의 오남용, 광고비 국민부담, 건강보험 재정 부담이 올 게 뻔하다.”고 방송통신위 해체를 촉구했다.
강주리기자 jurik@seoul.co.kr
2011-01-06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