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권에 뿌리내리고 인정받아야 손학규든 유시민이든 대권가도”

“야권에 뿌리내리고 인정받아야 손학규든 유시민이든 대권가도”

입력 2011-05-23 00:00
업데이트 2011-05-23 00: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안희정 충남지사 인터뷰

“친노는 정파를 뛰어넘어 손학규 민주당 대표든, 유시민 국민참여당 대표든 정통성을 얻고 신뢰를 받아야만 대선경쟁이 가능할 것입니다.”

이미지 확대


노무현 전 대통령의 2주기(23일)를 앞두고 지난 20일 집무실에서 안희정(46) 충남지사를 만났다.

→ ‘노무현 가치’는 무엇인가.

-원칙과 상식이다. 정치일생이나 대통령 재임 기간에 보여 준 모든 활동을 가장 잘 압축한 말인 듯하다. 누구든 특권적 지위를 갖거나 그 지위로 반칙하는 것을 고쳐 보자고 얘기했던 것이다.

→ 친노가 더 커지고 넓어져야 한다고 말한 뜻은.

-친노가 정파의 이름이 되는 것에 반대한다. 친노가 참여정부나 노 전 대통령과 가까웠던 사람들, 그때의 경험을 공유했던 정치세력으로 제한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진보정당이 먼저 국민에게 새로운 대안으로 지지받을 수 있도록 스스로 단결해야 한다.

→ 안 지사가 설립을 주도한 ‘더 좋은 민주주의 연구소’ 이사장을 친노 인사가 아닌 신기남 전 열린우리당 의장이 맡은 것도 그런 의미인가.

-백원우 의원이 소장을 맡았고, 나는 고문으로 물러나 있다. 신 전 의장도 노 전 대통령이 좋아했던 분인데…(웃음).

→ 손 대표 등 야권의 대선 후보에 대해 할 말은.

-야권의 대권주자는 이 진영에 뿌리를 내리고 신뢰를 얻어야만 한다. 야권의 역사적 정통성을 계승하고 현재와 미래의 지지를 넓힐 수 있는 후보라야 정권교체의 대안이 될 수 있다. 이 진영은 김대중과 노무현의 역사이기 때문에 그렇다.

→ 노 전 대통령도 시행착오가 있었다.

-오류 없는 정권이 어디 있나. 그 시대의 과제를 얼마나 극복했느냐로 평가하는 것이 옳다. 그런 점에서 계보의원 한 명 거느리지 못했던 노 후보를 대통령으로 만들었던 국민의 요구에 부응해 성실히 일했다. 다만 지역주의는 극복하지 못했다.

→ 당시 386(486) 정치인들도 욕 좀 먹었는데.

-당 지도부는 다 선배들이 맡지 않았나. 386이 장관을 했나, 뭘 했나. 지금의 486세대가 한 10여년간 더 일을 하게 된다. 선배들이 잘 지도하고 칭찬해 줘야 한다.

→ 노 전 대통령이나 안 지사의 철학에 비춰 요즘 우리 사회를 어떻게 보나.

-특권과 반칙 없는 사회는 노 전 대통령 재임 중에 어느 정도 해소됐다. 지금은 ‘갑·을 민주주의’를 청산하는 게 문제다. 모든 사람이 자기 권리만 주장해 해결에 협치가 안 되는 것을 말한다. 우리 모두가 주권자가 돼 스스로 끌고 가는 사회를 만들어야 한다.

대전 이천열기자 sky@seoul.co.kr
2011-05-23 8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