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아마르 카다피 리비아 국가원수의 은신처로 추정됐던 트리폴리의 밥 알아지지야 요새는 함락됐지만 카다피와 그 일가의 행방은 묘연하다. 전문가들은 카다피가 요새의 비밀 지하 터널을 통해 탈출한 것으로 보고 있다. 카다피 요새의 비밀 터널을 계기로 미 외교전문지 포린폴리시가 25일 북한과 중국, 러시아, 미국, 영국의 지하 벙커를 소개했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북한은 1950년대부터 평양을 중심으로 전국 주요 지역을 지하 터널로 광범위하게 연결했다. 전쟁이나 내부 봉기, 핵무기 공격이 발생하면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이 터널을 이용해 중국으로 탈출할 가능성이 높다. 캐나다 사설탐정회사 칸와에 따르면 북한은 백두산에 위치한 김 위원장의 사저 아래에도 대규모 벙커를 만들어 헬리콥터와 전투기 등을 보관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러시아는 비밀터널의 존재를 부인하고 있지만 1992년 타임지와 인터뷰한 전직 KGB요원에 따르면 지하 철로를 통해 크렘린과 6, 7개의 공공기관 건물이 도시 외곽에 위치한 거대한 벙커로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은 2차세계 대전 때 프랭클린 루스벨트 대통령이 백악관 웨스트윙 지하에 지하벙커를 만들었다. 2001년 9·11사태 때 딕 체니 부통령은 이곳으로 피신해 초기 대응을 논의했다. 버지니아주 베리빌 근처의 마운트 웨더는 자체 발전소와 급수 탱크, 병원 등을 갖추고 있어 만일의 사태 발생 시 임시 백악관으로 사용될 가능성이 높다. 2006년 연방정부는 이곳에서 대규모 민방위훈련을 하기도 했다.
이순녀기자 coral@seoul.co.kr
2011-08-26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