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한명숙 첫 회동 화기애애…탐색전

박근혜-한명숙 첫 회동 화기애애…탐색전

입력 2012-01-17 00:00
수정 2012-01-17 15:0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나라당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과 민주통합당 한명숙 대표가 17일 국회에서 첫 대면식을 가졌다.
이미지 확대
한 대표는 이날 낮 당 대표 취임 인사차 박 비대위원장을 예방했다. 이번 회동은 헌정사상 처음으로 여야 수장을 모두 여성이 맡은 상황에서 이뤄졌다는 점에서 관심을 모았다.

특히 한 대표는 전당대회 경선 과정에서 박 비대위원장에 대한 존칭을 생략한 채 “박근혜는 독재정권을 이끌던 박정희 딸”이라며 박 비대위원장을 강도높게 비판했다는 점에서 냉랭한 분위기가 흐를 것으로 예상되기도 했다.

하지만 회동은 서로 웃음이 오가고 덕감을 건네는 화기애애한 분위기 속에서 10분가량 진행됐다.

박 비대위원장은 한 대표에게 축하 인사를 건넨 뒤 “민주당이 국민의 생활을 책임지겠다고 말씀하신 것을 봤다. 앞으로 여야가 국민이 원하는 새로운 정치를 할 수 있을 것 같다”며 협력을 당부했다.

한 대표는 감사의 뜻을 표시한 뒤 “어떻게 보면 2012년이란 해는 여성들이 국민의 삶을 책임지고, 정치가 가장 후진적인데 이를 한 단계 도약시키는 혁신의 작업을 함께 할 수 있게 돼 참 좋다”고 화답했다.

이날 회동은 대립각을 세우는 공방전이 아니라 탐색전 성격이 강해보였다. 주된 화제도 공직선거법 개정 문제에 국한됐다.

박 비대위원장은 “정치가 한 단계 발전하려면 공천을 힘있는 몇 사람이 하는 게 아니라 국민께 돌려드려야 한다”며 한나라당이 4ㆍ11 총선에서 국민경선제를 도입할 계획임을 밝혔다.

한 대표는 민주당도 국민참여경선제를 실시할 예정이라고 소개한 뒤 “(공천권을) 국민에게 돌려드리면 국민의 뜻과 눈높이에 맞는 공천 혁명이 이뤄질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공감을 표시했다.

박 비대위원장은 “국민경선이 부작용없이 되려면 여야가 동시에 해야 하지 않겠느냐”며 선거법 개정 논의를 서두를 것을 제안했다.

이에 한 대표는 모바일투표 도입 필요성을 거론하고 “이렇게 공천을 하면 낡은 정치, 조직정치, 돈 정치가 없어지는 것 같다”고 강조하며 관련 자료를 건넸다.

현재 한나라당은 일반국민 80%, 책임당원 20% 비율로 선거인단을 구성해 개방형 국민경선제를 치르기로 했지만 민주당이 요구하는 모바일투표의 경우 기술적 문제 등을 이유로 이번에는 도입하지 않는다는 방침을 정했다.

한 대표는 BBK 주가조작 연루 의혹을 제기했다 징역 1년형이 확정돼 수감된 정봉주 전 의원을 구명하기 위한 ‘정봉주법(공직선거법) 개정’에 협력해줄 것을 당부했다.

그는 “정봉주가 감옥에 간 것은 표현의 자유와 연계된 정치탄압일 수 있다. 정봉주법이 2월 국회에서 해결됐으면 한다”고 요청했고, 박 비대위원장은 “검토를 하겠다”고 대답했다.

양당 대표는 총선을 앞둔 중차대한 시기에 당의 수장을 맡은 부담감을 털어놓기도 했다.

한 대표가 “많이 어려우시죠?. (당선의) 기쁨은 한순간이고 어려움이 닥치기 때문에 박 비대위원장도 어려우시겠구나 생각하면서 왔다”고 말했고, 박 대표는 “같은 것 같습니다. 같이 힘을 합하자”며 선의의 경쟁을 다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