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태근, CNK의혹 “감사결과 보도자료도 허위”

정태근, CNK의혹 “감사결과 보도자료도 허위”

입력 2012-01-27 00:00
수정 2012-01-27 11:4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씨앤케이(CNK)인터내셔널 주가조작 의혹을 폭로한 무소속 정태근 의원은 27일 카메룬 다이아몬드 광산의 추정 매장량에 대한 “감사원의 감사결과 보도자료도 허위”라고 주장했다.

정 의원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감사원 보도자료에는 2009년 8월과 12월 CNK가 추가발파 조사를 실시한 6개 지역에서 평균품위 0.02캐럿(cts/㎥)의 다이아몬드가 나왔다고 돼 있다”고 말했다. 평균품위는 1 입방미터당 광물 함유량을 뜻하는 용어다.

애초 CNK는 자체탐사 결과 평균품위가 0.34캐럿으로 나왔다면서 전체 매장량을 4억2천만 캐럿으로 추정했었다. 그러나 추가발파에서 드러난 평균품위가 0.02캐럿에 불과하다면 실제 매장량도 17분의 1인 약 2천400만 캐럿 전후로 볼 수 있다.

문제는 보도자료에 기재된 내용과 달리 실제 추가발파 조사에서 나온 평균품위가 0.02캐럿에도 미치지 못했다는 것이다.

정 의원은 “감사결과 보고서를 보면 추가발파를 한 6곳 중 2곳에서는 아예 다이아몬드가 나오지 않았다”면서 “평균품위 0.02캐럿이란 건 다이아가 나오지 않은 두 곳을 뺀 나머지 4곳의 평균품위일 뿐”이라고 밝혔다.

그는 “보도자료가 본문을 왜곡한 셈”이라면서 “자칫 매장량이 4억2천만 캐럿의 17분의 1은 되는 것처럼 오해가 생길 수 있다”고 비판했다.

한편 정 의원은 이날 MBC라디오 ‘손석희의 시선집중’에서 “앞으로 검찰수사의 핵심은 실질적으로 약 248만주의 신주인수권을 오덕균 CNK 회장이 보유하게 되는데 그 신주인수권을 과연 누구에게 제공을 했느냐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권력실세 주변인물 두 명이 신주인수권 248만주 중 일부 혹은 상당 부분을 받았다는 말이냐’는 질문에 “그렇다”고 답했다. 다만 이중 한 명이 박영준 전 지식경제부 차관일 수 있느냐는 질문에는 “그건 확인되지 않았다”고 답했다.

국무총리실이 CNK 주가조작 의혹을 조사하다가 총리실 직원이 선상에 오르자 중단했다는 일부 보도에는 “상당히 신빙성이 있다. 사실 저도 작년 그 문제에 대해 이야기를 들었다”고 말했다.

그는 “당시 총리실장이던 임채민 보건복지부 장관에게 청와대 민정수석실에서 외교통상통일부와 지식경제부, 총리실 관계자가 집중조사를 받았는데 총리실에서는 조사하지 않았냐고 물었더니 ‘안 했다’고 단정적으로 잡아떼더라”고 덧붙였다.

이명박 대통령의 대선 경선캠프 역할을 한 안국포럼 소속이었던 정 의원은 CNK 주가조작 의혹에 연루된 김은석 에너지자원대사가 “2006∼2007년도에 안국캠프를 들락날락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정 의원은 CNK 사건의 피해규모가 “전체 주식이 5천300만주이고 소액주주는 1만3천명 가량으로 사실 상당히 크다”면서 “정부의 고의성과 과실이 확인되면 소송 청구가 가능하기에 그 문제를 검토하는 중”이라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