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 사생결단 계파 갈등 치닫나
4월 총선을 앞두고 한나라당 내에서 ‘MB(이명박 대통령) 실세 용퇴론’이 다시 불거지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본격적인 공천 심사를 앞두고 제기됐다는 점에서 한달 전 비상대책위원회 출범 초기 제기된 용퇴론과 달리 친이(친이명박)·친박(친박근혜) 간 정치 생명을 건 계파 갈등으로 치달을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여권 분열의 불씨가 지펴졌다는 관측도 제기되는 상황이다.![與 쇄신파 회동 한나라당 남경필(가운데) 의원 등 쇄신파 의원들이 29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모임을 갖고 당 쇄신에 대한 견해를 밝히고 있다. 김세연(왼쪽부터)·임해규·남경필·구상찬·황영철 의원.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2/01/29/SSI_20120129170941.jpg)
한나라당 남경필(가운데) 의원 등 쇄신파 의원들이 29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모임을 갖고 당 쇄신에 대한 견해를 밝히고 있다. 김세연(왼쪽부터)·임해규·남경필·구상찬·황영철 의원.
연합뉴스
![與 쇄신파 회동 한나라당 남경필(가운데) 의원 등 쇄신파 의원들이 29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모임을 갖고 당 쇄신에 대한 견해를 밝히고 있다. 김세연(왼쪽부터)·임해규·남경필·구상찬·황영철 의원.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2/01/29/SSI_20120129170941.jpg)
與 쇄신파 회동
한나라당 남경필(가운데) 의원 등 쇄신파 의원들이 29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모임을 갖고 당 쇄신에 대한 견해를 밝히고 있다. 김세연(왼쪽부터)·임해규·남경필·구상찬·황영철 의원.
연합뉴스
한나라당 남경필(가운데) 의원 등 쇄신파 의원들이 29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모임을 갖고 당 쇄신에 대한 견해를 밝히고 있다. 김세연(왼쪽부터)·임해규·남경필·구상찬·황영철 의원.
연합뉴스
그는 “(결단의 의미가) 대통령 탈당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당내에서 그런 책임 있는 행동들이 나올 때가 됐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의원은 박근혜 비대위원장과의 교감 가능성에 대해서는 “개인적 의견”이라고 선을 그었다. 용퇴론은 이상돈 비대위원이 비대위 출범 직후인 지난달 말 처음 제기해 크게 논란이 됐다가 박 비대위원장의 수습 노력으로 수면 아래로 가라앉은 바 있다.
김 의원은 용퇴론의 대상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그러나 이명박 정부 핵심 인사 또는 전직 당 대표를 타깃으로 한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친이계 핵심으로 특임장관을 지낸 이재오 의원과 안상수·홍준표 전 대표, ‘전당대회 돈 봉투’ 파문의 당사자인 박희태 국회의장 등을 거론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김 의원은 친박계로 분류된다.
김 의원의 발언은 이 대통령의 탈당까지는 아니더라도 MB정부와 일정 부분 ‘선 긋기’를 하겠다는 뜻으로도 해석된다. 이는 현 정권 핵심 그룹인 ‘6인회의’의 이상득 의원과 박 국회의장, 최시중 전 방송통신위원장 등이 잇따라 측근 비리와 돈 봉투 사건으로 물의를 일으키고 있는 상황과도 무관치 않다는 지적이다. 한나라당의 쇄신 노력이 자칫하면 물거품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이재오 의원과 홍 전 대표 등 당사자들은 즉각적인 대응을 삼가고 있다. 발언의 진위 파악도 하지 않은 채 섣부르게 대응했다가는 정치적 논란만 가중될 수 있다는 판단으로 보인다. 친이계 한 의원은 “공심위 출범을 앞두고 이런 의견을 꺼내는 것은 MB정부의 핵심 인사를 무조건 배제하려는 의도로밖에 볼 수 없다.”고 비판하면서도 정면 대응은 자제하는 모습을 보였다. 친박계도 “김 의원의 개인 의견일 뿐”이라며 진화에 나섰다. 김 의원 역시 “일반적인 언급으로, 누구와 교감이 있은 것도 아니고 특정인을 겨냥한 것도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황비웅기자 stylist@seoul.co.kr
2012-01-30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