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 “중동진출 적극 지원하라” 원전분야 5000명 신규 채용
정부가 ‘제2 중동붐’을 겨냥해 올해 해외건설 인력 4800명을 양성하기로 했다. 해외 현장 근무자에게 병역특례를 확대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원전 분야에서도 올해 5000명의 신규 인력이 채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명박 대통령은 24일 서울 중구 세종로의 해외건설협회에서 열린 비상경제대책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의 해외건설 인력난 해소 방안을 보고받았다. 현재 국내 건설업체들은 해외 1800개 현장에서 17만명의 인력을 운용 중이지만 이 가운데 한국인은 1만 6000명에 불과하다. 중동시장 전망을 감안하면 올해에만 2200명, 2015년까지는 연평균 3500명이 추가로 해외 현장에 투입돼야 한다.
국토부는 청년층의 해외건설 현장 취업 활성화를 위해 대학 졸업자를 대상으로 하는 단기 실무교육 양성 규모를 지난해 2500명에서 올해 3500명으로 늘리기로 했다. 400명 수준의 지방대생 교육과정과 120명 안팎의 원전 시공인력 양성도 포함됐다.
대학 졸업을 앞둔 마지막 1학기를 해외건설 실무교육으로 대체해 학점으로 인정하는 실무학기제도 도입한다. 또 대학과 실무교육 학점 인정 협약을 맺어 해당 대학 졸업 예정자에게 단기 직무교육과 해외 인턴 기회를 우선 부여할 계획이다. 중소업체 채용 인력 200명에 대해서는 1년간 해외 훈련(OJT)을 실시하고 1인당 1140만원을 지원한다. 전문 경력자 인력난 해소를 위해 맞춤형 6개월 전문가 과정을 현재 2개 대학원에서 5개로 늘리고, 교육기관별로 발전 석유화학 계약, 리스크 관리 등 전문과정을 특화하기로 했다.
한편 지식경제부도 이날 ‘해외 원전 전문인력 확보 및 양성방안을 확정했다. 한국수력원자력(1090명), 한전기술(240명), 한전원자력연료(139명) 등이 대규모 채용을 진행한다.
우리나라가 수출한 원전 4기 운영과 관련해서는 아랍에미리트연합(UAE) 원자력공사(ENEC)가 우리 측에 100% 지원을 요청한 데 맞물려 2020년까지 연도별로 1000~4000명까지 필요한 것으로 추산됐다. 정부는 원전 마이스터고 지정 외에 원전특성화 대학을 올해 1~2곳 추가할 방침이다.
이 대통령은 “우리 기업의 중동 진출 지원을 위해 중동 국가로 나가는 근로자들에게 세제와 교육비 혜택을 주는 방안을 검토하라.”면서 “젊은 사람들에게 일자리를 만들어 줄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고, 두려워하지 않고 갈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고 당부했다.
김성수·오상도기자 sdoh@seoul.co.kr
2012-02-25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