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분석] 친박·비박의 운명 미래권력 ‘가늠자’

[뉴스 분석] 친박·비박의 운명 미래권력 ‘가늠자’

입력 2014-07-14 00:00
업데이트 2014-07-14 05: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與 14일 전대… 당대표 선출

앞으로 2년 동안 집권 여당을 이끌어 갈 지도부가 14일 새로 뽑힌다. 새누리당은 이날 서울 잠실체육관에서 전당대회를 열고 대표를 포함해 5명의 최고위원을 선출한다.

이미지 확대
새누리당 내일 전당대회를 앞두고 영등포선관위 투표소에서 선거인단 투표가 진행되고 있다.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새누리당 내일 전당대회를 앞두고 영등포선관위 투표소에서 선거인단 투표가 진행되고 있다.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이번에 새로 뽑히는 대표는 집권 중반기로 접어드는 박근혜 정부와의 당·청 관계를 주도하는 것은 물론 2016년 4월 치러지는 20대 총선에서 공천권을 행사한다는 점에서 전당대회 결과에 비상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 13일 현재 당 안팎의 관측을 종합하면 9명의 후보들 가운데 서청원·김무성 의원이 양강 구도를 형성한 가운데 이인제·홍문종·김태호 의원이 중위권을 달리고 있다.

‘친박근혜계 맏형’ 격인 서 의원이 대표로 선출될 경우 기존 당·청 관계에 큰 변화는 없을 전망이다. 친박계가 주도하는 여당은 청와대의 국정운영 방향을 크게 거스르지 않을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라 박 대통령은 안정적인 당·청 관계를 토대로 국정 구상을 주도적으로 실현하려 할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 서 의원은 지난 6일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대표가 된다면 박 대통령과 정치적 운명을 함께할 것”이라고 다짐한 바 있다.

반면 비박계의 좌장 격인 김무성 의원이 대표로 뽑힌다면 당·청 관계의 변화가 불가피하다. 비박계가 주도하는 여당이 수평적 당·청 관계를 추구하면서 사안에 따라서는 청와대와 마찰 내지 충돌하는 상황이 연출될 가능성이 있다. 이는 곧 여권 내 권력구도가 ‘여소야대’(與小野大) 격으로 변화하는 것이어서 상황에 따라서는 박 대통령이 조기 레임덕의 위기를 맞을 수도 있다. 특히 김 의원은 차기 대선 주자로 꼽힌다는 점에서 대표가 될 경우 여권 내 힘의 균형이 ‘현재 권력’인 박 대통령으로부터 ‘미래 권력’인 김 의원 쪽으로 쏠릴 개연성이 있다. 여당 내에서 친박과 비박 간 권력투쟁이 노골화할 가능성도 맞물린다.

실제 김 의원은 지난 10일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대표가 된다면 대통령과 여당 대표의 정례회동을 복원하겠다”며 수평적 당·청 관계를 기조로 직언을 불사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김 의원은 또 “대표가 된다면 당내 탕평인사를 단행하겠다”면서 “지금은 친박 중에서도 소수 친박끼리만 인사를 하고 있다”고 강한 불만을 표출했다. 정권 초·중반에 ‘친대통령’이 아닌 인사가 여당 대표로 선출되는 것은 이례적인 현상이다. 이명박 정부 때도 초·중반에는 친이명박계(2008년 박희태, 2010년 안상수)가 잇따라 대표로 선출됐었다.

김상연 기자 carlos@seoul.co.kr
2014-07-14 1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