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쇠쥔’ 安, 장고돌입…文-安관계 ‘중대기로’

‘열쇠쥔’ 安, 장고돌입…文-安관계 ‘중대기로’

입력 2015-11-18 19:34
수정 2015-11-18 19:3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중재노력 고려·당 위기 여전…수락시 관계 급진전진정성 의구심 완전해소 안돼…거절시 파국 불가피

새정치민주연합 안철수 전 공동대표가 18일 문재인 대표의 총선 공동 지도부 구성 제안에 입장 표명을 유보한 채 장고(長考)에 들어갔다.

안 전 대표로서는 제안을 수락하기에는 문 대표에 대한 신뢰가 아직 부족하고, 거부하자니 당 위기를 키웠다는 책임론에서 자유로울 수 없어 고민이 깊어지는 상황이다.

일단 안 전 대표는 ‘긍정도 부정도 아닌’ 신중한 입장 하에 당 안팎의 의견을 수렴하면서 문 대표측의 진의와 구체적 계획을 파악할 것으로 보인다.

안 전 대표측 관계자는 이날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문 대표 제안이 혁신을 하자는 것인지 선거대책위원회를 꾸리자는 것인지 불분명하다”며 “여러 의견들을 더 들어보고 내부 토론도 거쳐야 한다”고 말했다.

안 전 대표는 이날 서울시내 모처에서 측근들과 함께 문 대표의 제안을 검토한 뒤 이같이 결정했으며, 이후 저녁 일정을 취소한 채 일찍 귀가한 것으로 전해졌다.

안 전 대표는 당분간 당 안팎 각계 인사들과 비공개로 접촉하며 고민을 이어갈 계획이다.

일각에서는 그동안 안 전 대표가 혁신안에 대한 입장표명을 요구하며 지도체제 논의에 선을 긋던 데 비해 논의 가능성을 열어둔 것이라는 평가와 함께 수락 가능성도 조심스럽게 점쳤다.

당내에서 계파별 그룹별로 물밑 중재와 조정 노력이 끊이지 않는 것도 고려될 수밖에 없다는 분석도 있다.

총선이 코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당 지지율이 좀처럼 반등 기미가 없는 등 위기상황이 계속되고 있어 문 대표의 제안을 뿌리치는 모양새도 안 전 대표에게는 부담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안 전 대표가 문 대표의 제안을 수락할 경우 양측은 그동안의 감정의 앙금을 터는 중요한 계기를 마련하고, 혁신을 고리로 한 당내 계파갈등도 진정 국면으로 접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에 이번 제안이 ‘혁신의 진정성’을 증명하기에는 부족하다는 지적과 함께 지도체제 논란으로 위기에 처한 문 대표가 어쩔 수 없이 이번 제안을 한 것 아니냐는 의구심을 제기하는 의견도 있다.

현역 광역단체장인 박원순 서울시장의 총선 지도부 참여나 최고위원 사퇴 등 전제조건이 필요한 점도 안 전 대표의 수락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으로 이어진다.

더욱이 이날 문 대표의 호위무사를 자처하는 최재성 총무본부장이 한 라디오 방송에 출연, ‘안 전 대표가 과도한 혼수를 요구해선 안 된다’고 발언한 것도 악재가 될 수 있다.

안 전 대표측은 “문 대표 측근의 발언이 이러니 문 대표가 어떤 발언을 한들 혁신의 진정성을 느낄 수 있겠나”라고 반발했다.

안 전 대표가 이번 제안을 거부한다면 안 전 대표의 ‘혁신 마이웨이’는 더욱 가속화되고 문 대표와의 관계도 돌이킬 수 없게 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이 경우 당의 원심력도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

일부에서는 설령 두 사람이 손을 잡더라도 잠재적 대선 경쟁자인 만큼 일시적 협력에 그치고 결국은 다시 갈등이 불가피하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두 사람은 지난 9월 안 전 대표가 “혁신은 실패했다”고 직격탄을 날린 뒤 혁신논쟁으로 ‘핑퐁게임’을 벌였고, 급기야 안 전 대표측에서는 ‘중대결단설’이 나오고 있고, 일각에서는 ‘탈당론’까지 거론하고 있는 상황이다.

양측 감정의 골은 지난 대선 후보 단일화로 거슬러 올라갈 만큼 뿌리가 깊어 해결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견해가 적지 않다.

당시 양측은 후보 등록 직전까지 단일화 룰을 두고 제안과 역제안을 거듭하며 대치한 끝에 안 전 대표가 사퇴했으나 ‘아름다운 단일화’에는 실패했고, 새정치연합에서 ‘한솥밥’을 먹은 뒤로도 공동 행보는 성사되지 않고 있다.

이용균 서울시의원, ‘고갯마루어린이공원’ 사계절 복합여가 물놀이공간으로 재탄생 임박

서울 강북구 삼각산동에 위치한 고갯마루어린이공원이 사계절 내내 즐길 수 있는 복합 여가 물놀이 공간으로 새롭게 태어난다. 노후된 시설을 전면 개선하는 이번 사업은 현재 막바지 단계에 접어들며 8월 중 완공을 앞두고 있다. 서울시의회 이용균 의원(더불어민주당, 강북3)은 지난 7월 30일 강북구청 관계자들과 함께 공사 현장을 방문해 진행 상황을 점검하고 성공적인 사업 마무리를 위한 의지를 다졌다. 이 의원은 현장점검을 통해 주요 공정의 추진 현황을 꼼꼼히 살피며 주민 편의와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달라고 당부했다. 이번 고갯마루어린이공원 재조성 사업은 총 15억원의 특별교부금이 투입된 대규모 사업으로, 2023년 11월부터 공사가 본격화됐다. 기존의 단순 놀이공간은 타워형 조합놀이대와 물놀이시설이 어우러진 복합 여가 공간으로 재탄생하며, 커뮤니티 가든, 휴게 데크, 순환산책로 등 주민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편의시설도 함께 조성된다. 특히 어린이를 위한 안전한 물놀이 공간 확보는 물론, 다양한 세대가 어울릴 수 있는 열린 공간으로 꾸며지는 점이 주목된다. 사업 초기부터 지역 주민과의 소통을 중시한 점도 이번 사업의 특징이다. 이 의원과 강북구청은 일부 주
thumbnail - 이용균 서울시의원, ‘고갯마루어린이공원’ 사계절 복합여가 물놀이공간으로 재탄생 임박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