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北 무수단미사일 발사, ICBM 재진입시험 아니다”

국방부 “北 무수단미사일 발사, ICBM 재진입시험 아니다”

입력 2016-06-28 11:13
수정 2016-06-28 11:1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문상균 대변인 “ICBM 재진입 속도에 못 미쳐”

국방부는 지난 22일 진행된 북한의 무수단(화성-10) 탄도미사일 시험발사와 관련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의 대기권 재진입 시험을 한 것은 아니다”고 평가했다.

문상균 국방부 대변인은 28일 열린 정례브리핑에서 “무수단 미사일의 재진입 속도가 ICBM 재진입 속도인 마하 24 수준은 아닌 것으로 파악된다”면서 “ICBM 재진입 시험을 한 것은 아닌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당시 무수단 미사일의 대기권 재진입 속도는 마하 15~16 수준으로 전해졌다.

문 대변인은 미국 국방부가 무수단 미사일의 대기권 재진입 사실을 확인한 데 대해선 “재진입 기술을 확인한 것은 아니라는 데 한국과 미국 양국이 인식을 같이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다양한 첩보를 통해 (재진입 상황을) 정밀 분석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문 대변인은 북한이 배치한 스커드-ER 미사일의 사거리가 당초 알려졌던 700㎞가 아닌 1천㎞라는 일부 보도와 관련, 즉답은 피한 채 “북측이 사거리 연장 노력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답변했다.

일본 방위성이 발간한 2015년 방위백서에는 북한 스커드-ER 미사일의 사거리가 1천㎞로 명기된 것으로 전해졌다. 군의 한 관계자는 “스커드-ER에 대해선 분석을 하고 있으며 아직 결과를 공개할 단계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문 대변인은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최근 사드(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의 한반도 배치를 반대하는 내용이 담긴 성명을 발표한 것과 관련, “사드는 북한의 증대되는 핵과 미사일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방어수단으로 한미 간에 협의 중에 있는 사항”이라며 “안보와 국익을 우선해 판단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