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운영위원회는 14일 전체회의를 열고 청와대를 비롯해 소관 기관의 내년도 예산안을 의결했다.
운영위는 내년도 대통령비서실·국가안보실 예산안의 경우 정부안보다 7억2천100만 원 늘어난 905억7천700만 원으로 증액해 의결했다.
구체적으로 운영위는 청와대 예산 중 인건비(3천400만 원 감액) 및 정보화 추진 예산(4억1천만 원 감액) 등은 감액한 반면 시설관리 및 개선 예산(10억1천600만 원 증액)은 정부 안보다 늘려서 편성했다.
운영위는 시설관리 및 개선 예산에 대해 “청와대의 광화문 이전 시기가 미정이므로 시설물을 지속해서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해 올해 수준으로 예산을 편성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운영위는 또 청와대 예산안에 ▲특수활동비 집행의 투명성을 높일 수 있는 제도개선 방안 마련 ▲대통령 전용기 구매 여부 검토 후 국회에 결과 제출 ▲청와대 등 주요 국가기관의 전자기파(EMP) 공격 방어 대책 마련 등의 부대 의견도 달았다.
한편 운영위는 국회사무처와 국회도서관 등을 비롯한 국회의 내년도 예산안은 정부 안보다 93억9천800만 원 늘어난 6천78억4천300만 원으로 증액해 의결했다.
연합뉴스
운영위는 내년도 대통령비서실·국가안보실 예산안의 경우 정부안보다 7억2천100만 원 늘어난 905억7천700만 원으로 증액해 의결했다.
구체적으로 운영위는 청와대 예산 중 인건비(3천400만 원 감액) 및 정보화 추진 예산(4억1천만 원 감액) 등은 감액한 반면 시설관리 및 개선 예산(10억1천600만 원 증액)은 정부 안보다 늘려서 편성했다.
운영위는 시설관리 및 개선 예산에 대해 “청와대의 광화문 이전 시기가 미정이므로 시설물을 지속해서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해 올해 수준으로 예산을 편성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운영위는 또 청와대 예산안에 ▲특수활동비 집행의 투명성을 높일 수 있는 제도개선 방안 마련 ▲대통령 전용기 구매 여부 검토 후 국회에 결과 제출 ▲청와대 등 주요 국가기관의 전자기파(EMP) 공격 방어 대책 마련 등의 부대 의견도 달았다.
한편 운영위는 국회사무처와 국회도서관 등을 비롯한 국회의 내년도 예산안은 정부 안보다 93억9천800만 원 늘어난 6천78억4천300만 원으로 증액해 의결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