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최 도시 미발표 속 이동 수단과 경로에 관심 쏠려
참매 1호(일류신(IL)-62M).
연합뉴스 자료사진
연합뉴스 자료사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5일(현지시간) 미국 연방의회에서 행한 새해 국정연설에서 “2월 27일과 28일 베트남에서 김 위원장과 만날 것”이라고 밝혔지만, 개최 도시를 공개하지는 않았다.
경호와 보안에 용이한 휴양도시인 다낭과 베트남 수도이자 북한 대사관이 있는 하노이가 여전히 거론되는 가운데, 김정은 위원장이 이번엔 2차 북미정상회담 장소까지의 이동 수단으로 자신의 전용기인 ‘참매 1호’에 몸을 실을지 주목된다.
참매 1호는 옛 소련 시절 제작된 ‘일류신(IL)-62M’을 개조한 것으로, 4개의 엔진이 장착돼 비행 거리가 1만㎞에 달한다.
앞서 김 위원장은 지난해 6월 12일 싱가포르에서 열린 1차 북미정상회담에서 참매 1호 대신 중국국제항공(에어차이나) 소속 보잉 747기 편을 이용했다.
평양과 싱가포르는 5천㎞가량 떨어져 있어 참매 1호가 충분히 비행할 수도 있는 거리였지만, 참매 1호가 기종이 노후하고 장거리 운항 경험도 없는 점이 고려된 것으로 해석됐다.
북한이 국제적인 정상 의전 프로토콜에 맞게 처음 치르는 정상외교 자리라는 측면에서 최고지도자의 체면보다 안전을 택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그러나 북한은 싱가포르 1차 북미정상회담을 무탈하게 끝내면서 차단되지 않은 외부노출과 통제되지 않은 환경에서 최고지도자에 대한 의전에 자신감을 얻은 상황다.
특히 지난해 6월 북측 다른 대표단 일행이 참매 1호에 탑승해 문제없이 싱가포르를 왕복하기도 했다.
또 베트남은 싱가포르보다 평양에서 더 가깝다. 평양에서 하노이까지의 거리는 약 2천760km, 평양에서 다낭까지의 거리는 약 3천65㎞다.
이런 사실들을 종합하면 이번에는 김 위원장이 ‘참매 1호’에 탑승할 가능성이 커보인다.
그러나 2차 북미정상회담 주최국인 베트남이나 북한의 전통 우방국 중국이 1차 북미정상회담 때처럼 북한에 항공편을 지원할 가능성은 여전하다.
정상회담인 만큼 북한의 고위인사와 경호인력을 포함해 적잖은 인원이 이동해야 하는 만큼 국격보다는 안전을 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 김 위원장이 참매 1호를 이용하더라도 중국에서 재급유를 받고 항공기를 점검하는 방식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일각에서는 김 위원장이 평양에서 베트남 하노이나 다낭까지 특별열차로 이동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내놓고 있지만, 육로를 이용할 경우 이동 시간에 수일이 걸린다는 점에서 현실성이 다소 떨어져 보인다.
또 김 위원장은 베트남에서 평상시 이용하는 벤츠를 이용할 가능성이 크다. 지난해 6월 싱가포르 1차 북미정상회담 당시에는 북한 국무위원회 표식을 한 벤츠 차량 두 대가 동원됐다.
2차 북미정상회담 개최 도시가 곧 확정 발표되면 북한이 어디에 베이스캠프를 차릴지도 초미의 관심사가 될 것으로 보인다.
베트남 주재 북한 대사관은 김 위원장의 의전과 경호에 대한 ‘철통 보안’을 유지하면서 분주히 움직일 것으로 전망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