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NFCCC 적응주간 참석한 반기문
반기문 전 유엔사무총장이 8일 오전 인천시 연수구 송도컨벤시아에서 열린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적응주간‘에서 참석자들과 인사하고 있다.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 보고서에 따르면 ’기후변화 적응‘은 모든 국가가 기후변화에 대응해 적절한 행동?태도를 취하고 피해를 줄이거나 주어진 기회를 이용해 긍정적인 결과를 이끄는 것을 뜻한다. 2019.4.8 연합뉴스
반 전 총장은 이날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열린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적응주간’ 개회식에서 기조연설을 통해 “기후변화는 후세대에 넘길 문제가 아닌데 우리는 마치 지구가 2개인 것처럼 안일하게 행동한다”며 이렇게 말했다.
그는 유엔 사무총장 시절인 2015년 채택된 지구 평균기온 상승을 제한해야 한다는 파리기후협정을 언급한 뒤 “문제는 파리기후협정 채택 이후에도 지난 3년간 온실가스 배출이 오히려 증가했다는 점”이라며 “우리가 서둘러 행동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반 전 총장은 산업화 이전과 비교해 2100년까지 지구 평균 온도 상승 폭을 1.5도 이내로 제한하자는 내용을 담은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 특별보고서가 “전 세계에 던져진 경고장”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반 전 총장은 전 세계에서 온 참석자들에게 인천을 간단히 소개한 뒤 “‘1.5도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고 해수면 상승을 방치하면 인천도 이번 세기말에는 물 아래로 가라앉을 것”이라고 밝혔다.
반 전 총장은 “기후변화는 우리 생각보다 훨씬 속도가 빠르다”면서 “우리의 미래 세대가 1000년, 1만년 후에도 자연과 조화롭게 살 수 있는 환경을 우리가 물려줘야 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그는 최근 자신이 대통령 직속 미세먼지 해결 범국가 기구 위원장으로 내정됐다는 소식을 전하면서 “미세먼지 대응이야말로 기후변화 적응 조치 중 하나”라며 “미세먼지 해결을 통해 지구가 환경적으로 지속 가능한 세상이 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유엔기후변화협약 사무국과 환경부가 마련한 이번 행사에는 103개국의 기후변화 담당 공무원, 전문가, 시민사회·산업계 관계자 500여명이 참석했다.
강주리 기자 jurik@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