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5일(현지시간) 북한은 많은 이들이 하는 소형 미사일 실험을 했을 뿐이라고 말했다.
북한이 지난 25일 단거리 탄도미사일을 발사한 이후 내놓은 첫 언급으로, 북학과의 실무협상 동력을 잃지 않겠다는 뜻으로 읽힌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나는 정말로 그(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와 잘 지낸다”며 “그러나 무슨 일이 일어날지 지켜보자”고 했다. 이어 “제재는 유지되고 있고 인질들이 돌아왔다. 유해들이 송환되고 있다”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들(북한)은 핵실험을 하지 않아왔다”면서 “그들은 정말로 작은 미사일 외에는 미사일 실험을 하지 않아왔다”고 했다. 소형미사일에 대해선 “많은 이들이 실험하는 것”이라고 했다.
이어 그는 “나는 우리가 북한에 대해 매우 잘해왔다고 생각한다”면서도 “그렇다고 해서 그것이 계속 지속할 것이라는 걸 의미하진 않는다”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의 이번 단거리 탄도미사일 발사에 대해 특정해서 언급하진 않았다. 앞서 5월 단거리 미사일 발사에서도 트럼프 대통령은 “모두 다 하는 소형 미사일 실험”이라고 의미를 축소했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은 25일(현지시간) 북한의 미사일 발사와 관련, 협상력을 높이기 위한 지렛대일 수 있다고 평가했다.
폼페이오 장관은 이날 블룸버그 TV와의 인터뷰에서 ‘북한이 2발의 단거리 탄도 미사일을 발사했다. 비핵화 협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는냐‘라는 질문을 받고 “모두가 협상을 준비하면서 지렛대를 만들고 상대편에 대한 위험요소를 만들려 한다”고 답변했다.
이어 폼페이오 장관은 “우리는 (북한과) 외교적으로 나아갈 길과 협상을 통한 해결책이 있다고 여전히 확신한다”며 “우리는 이 기회를 고대하고 있다. 김 위원장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우리 팀과 협상할 그의 실무팀을 보낼 것이라고 말했다”고 ‘실무협상 재개’ 약속을 거듭 확인했다.
폼페이오 장관은 실무협상 재개 시기와 관련 “두어 주 내에 이뤄질 것으로 나는 기대한다”고 답변했다.
서유미 기자 seoym@seoul.co.kr
북한이 지난 25일 단거리 탄도미사일을 발사한 이후 내놓은 첫 언급으로, 북학과의 실무협상 동력을 잃지 않겠다는 뜻으로 읽힌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나는 정말로 그(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와 잘 지낸다”며 “그러나 무슨 일이 일어날지 지켜보자”고 했다. 이어 “제재는 유지되고 있고 인질들이 돌아왔다. 유해들이 송환되고 있다”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들(북한)은 핵실험을 하지 않아왔다”면서 “그들은 정말로 작은 미사일 외에는 미사일 실험을 하지 않아왔다”고 했다. 소형미사일에 대해선 “많은 이들이 실험하는 것”이라고 했다.
이어 그는 “나는 우리가 북한에 대해 매우 잘해왔다고 생각한다”면서도 “그렇다고 해서 그것이 계속 지속할 것이라는 걸 의미하진 않는다”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의 이번 단거리 탄도미사일 발사에 대해 특정해서 언급하진 않았다. 앞서 5월 단거리 미사일 발사에서도 트럼프 대통령은 “모두 다 하는 소형 미사일 실험”이라고 의미를 축소했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은 25일(현지시간) 북한의 미사일 발사와 관련, 협상력을 높이기 위한 지렛대일 수 있다고 평가했다.
폼페이오 장관은 이날 블룸버그 TV와의 인터뷰에서 ‘북한이 2발의 단거리 탄도 미사일을 발사했다. 비핵화 협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는냐‘라는 질문을 받고 “모두가 협상을 준비하면서 지렛대를 만들고 상대편에 대한 위험요소를 만들려 한다”고 답변했다.
이어 폼페이오 장관은 “우리는 (북한과) 외교적으로 나아갈 길과 협상을 통한 해결책이 있다고 여전히 확신한다”며 “우리는 이 기회를 고대하고 있다. 김 위원장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우리 팀과 협상할 그의 실무팀을 보낼 것이라고 말했다”고 ‘실무협상 재개’ 약속을 거듭 확인했다.
폼페이오 장관은 실무협상 재개 시기와 관련 “두어 주 내에 이뤄질 것으로 나는 기대한다”고 답변했다.
서유미 기자 seoy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