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구 표지판. 123RF](https://img.seoul.co.kr/img/upload/2024/01/13/SSC_20240113155002_O2.jpg)
![비상구 표지판. 123RF](https://img.seoul.co.kr//img/upload/2024/01/13/SSC_20240113155002.jpg)
비상구 표지판. 123RF
지난 12일 일부 언론에서는 행안부를 인용해 “대형 재난 시 시민의 혼란을 줄이기 위해 여러 유형으로 운영 중인 재난 대피소를 일원화하는 작업에 나설 예정”이라면서 비상구 유도등 도안에 여성 그림을 추가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우리나라가 사용하고 있는 비상구 유도등 도안은 1972년 일본 오사카의 한 백화점 화재 이후 일본 정부가 공모를 거쳐 만든 것이다. 1987년 국제표준화기구(ISO)에 의해 채택돼 우리나라에서는 1992년부터 쓰이고 있다.
해당 소식이 전해진 후 이날 각종 온라인 커뮤니티와 소셜미디어(SNS) 등에서는 비판이 쏟아졌다. “비상구 그림은 남자가 아니라 사람표시 아니었나”, “시대 역행이다”, “국민 혈세 낭비하지 마라” 등 쓴소리가 대부분이었다.
정치권에서도 비판이 나왔다. 허은아 개혁신당(가칭) 창당준비위원장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국민 세금 갖고 장난하면 안 된다”면서 “저 마크를 보고 남자만 대피하라고 생각하는 사람 아무도 없다”고 질타했다.
논란이 커지자 행안부와 소방청은 이날 오후 공동 설명자료를 통해 입장을 밝혔다. 두 부처는 설명자료에서 “비상구 유도등 도안 변경은 구체적 변경사항이 결정된 바 없다”고 밝혔다.
또 언론에 보도된 여성 상징 유도등 픽토그램에 대해 “정부의 시안이 아니며, 임의로 제시된 것”이라면서 “추후 디자인을 변경하더라도 기존 설치된 유도등을 교체하는 것이 아니라 신규 설치되는 유도등에 적용하게 될 예정이므로 예산 낭비 우려는 없다”고 설명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