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은 20일 외교안보 전문가와 원로들을 청와대로 불러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사망을 둘러싼 현 상황에 대해 자문을 구했다. 참석자들은 김 위원장의 뒤를 이을 김정은 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이 권력 장악에 실패할 가능성에 대비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우리 정부 차원의 조문단 파견은 어렵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한승주 한미협회장, 현홍주 전 주미대사, 김태우 통일연구원장, 윤덕민 외교안보연구원 교수, 김성한 고려대 국제대학원 교수 등 전직 외교부 고위 관료와 학자들로 구성된 대통령 외교안보자문단은 오전 7시 30분부터 2시간가량 이 대통령과 조찬간담회를 가졌다. 참석자들은 “진지한 분위기에서 깊이 있는 토론이 이뤄졌다.”고 전하면서도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함구령이 있었다며 말을 아꼈다. 김 교수는 “김정일 사후 대북 상황 관리 및 대북 정책의 방향을 어떻게 할지, 김정은이 권력 장악에 실패한다면 어떤 대책을 세울 것인지 등에 대한 내용을 논의했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을 애도하는 기간이 끝나면 북한 내부의 권력 투쟁 가능성을 비롯해 다양한 시나리오가 나올 수 있어 이에 대한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 것으로 전해졌다.
오달란·한세원기자 dallan@seoul.co.kr
한승주 한미협회장, 현홍주 전 주미대사, 김태우 통일연구원장, 윤덕민 외교안보연구원 교수, 김성한 고려대 국제대학원 교수 등 전직 외교부 고위 관료와 학자들로 구성된 대통령 외교안보자문단은 오전 7시 30분부터 2시간가량 이 대통령과 조찬간담회를 가졌다. 참석자들은 “진지한 분위기에서 깊이 있는 토론이 이뤄졌다.”고 전하면서도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함구령이 있었다며 말을 아꼈다. 김 교수는 “김정일 사후 대북 상황 관리 및 대북 정책의 방향을 어떻게 할지, 김정은이 권력 장악에 실패한다면 어떤 대책을 세울 것인지 등에 대한 내용을 논의했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을 애도하는 기간이 끝나면 북한 내부의 권력 투쟁 가능성을 비롯해 다양한 시나리오가 나올 수 있어 이에 대한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 것으로 전해졌다.
오달란·한세원기자 dallan@seoul.co.kr
2011-12-21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