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중국, 일제 강제징용 피해자 공조 본격화

한국-중국, 일제 강제징용 피해자 공조 본격화

입력 2014-04-02 00:00
수정 2014-04-02 13:4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중국 ‘추모행사·손배소’에 한국인 피해자도 참석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에 끌려가 강제노역을 한 한국과 중국의 피해자와 그 가족들이 일본을 상대로 본격적인 공조에 나섰다.

중국인 강제징용 피해자와 가족들은 2일 오전 중국 허베이(河北)성 성도인 스자좡(石家庄)시에서 피해자 추모 행사를 한 뒤 일본 기업을 상대로 중국 법원에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제기했다.

이날 행사에는 한국인 징용 피해자 가족 대표와 한국 변호사도 참석, 이들을 격려하면서 연대의 메시지를 전했다.

’2차대전 중 미쓰비시(三菱) 머티어리얼(전 미쓰비시광업주식회사) 피해노동자대표단’(이하 대표단)은 이날 오전 스자좡 핑안(平安)공원 기념비에서 1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추모 행사를 열어 강제징용으로 희생된 피해자들의 명복을 빌었다.

한중 양국의 피해자 대표들은 기념비에 헌화하고 묵념하면서 아직도 제대로 된 사과와 배상을 하지 않는 일본 정부와 기업들의 반성을 촉구했다.

한국인 대표로는 이규매 원폭협회 기호2세회 총무, 이희자 태평양전쟁피해자보상추진협의회 공동대표, 장완익 변호사가 참석했다.

중국 대표단은 이어 피해자와 가족 등 151명을 원고로 허베이 고급인민법원에 미쓰비시사를 상대로 총 2억2천700만 위안(약 394억원)의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제기했다.

징용 피해자인 리윈더(李運德.88)씨 등 소송대표 6명은 전체를 대표해 이날 법원에 소장을 제출했다.

리씨는 “16세 때 일본에 끌려가 1년반 동안 제대로 먹지도 못하고 죽을 고생을 했다”면서 이번 소송을 통해 일본이 사죄하고 배상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소송 원고들은 강제노동 도중 숨진 희생자에게 각 200만 위안, 생존해 돌아온 피해자에게는 각 150만위안을 배상하라고 요구하면서 중일 양국 주요매체에 대한 사죄 광고도 요구했다.

대표단은 한중 간 대일 공조에 대해 “한중 양국 피해자들이 진정으로 의미 있는 공동대응을 시작했다”면서 “이는 역사적인 순간”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대표단은 오후에는 토론회를 열어 한국인 징용자들과 변호사들이 겪은 경험담을 공유하면서 양국간 공동 대응 방안을 모색한다.

한중 양국의 강제징용 피해자들이 한 자리에서 공조와 연대를 본격적으로 모색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한국에서는 이미 징용피해와 관련해 일본 대기업의 책임을 인정한 판결들이 잇따라 나왔지만, 중국에서는 중·일간 갈등이 고조된 이후 올해 들어 일본 기업을 상대로 자국 법원에 제출한 소송이 본격화되고 있다.

재일 화교인 린보야오(林伯耀) 중일교류촉진회 대표는 “중국 내에서의 징용피해자 소송은 한국 피해자들에 대한 한국 법원의 잇단 승소 판결이 없었다면 완전히 불가능했을 것”이라면서 한국의 경험이 큰 힘이 됐음을 강조했다.

중국에서는 지난달 26일 강제징용 피해자와 유족대표들이 일본 기업을 상대로 베이징(北京) 법원에 첫 소송을 낸 이후 지역별로 관련 소송이 잇따르고 있다.

지난 26일에는 중국 노동자와 유족 등 19명이 일본 정부와 미쓰비시, 일본코크스공업(전 미쓰이<三井>광산)을 상대로 배상과 사죄를 요구하는 소송을 허베이(河北)성 탕산(唐山)시 중급인민법원에 제기했다.

일본 강점기에 끌려간 중국인 강제징용자는 약 4만 명에 달하며 이 중 8천여 명이 노역 중에 목숨을 잃었다.

이용균 서울시의원, ‘고갯마루어린이공원’ 사계절 복합여가 물놀이공간으로 재탄생 임박

서울 강북구 삼각산동에 위치한 고갯마루어린이공원이 사계절 내내 즐길 수 있는 복합 여가 물놀이 공간으로 새롭게 태어난다. 노후된 시설을 전면 개선하는 이번 사업은 현재 막바지 단계에 접어들며 8월 중 완공을 앞두고 있다. 서울시의회 이용균 의원(더불어민주당, 강북3)은 지난 7월 30일 강북구청 관계자들과 함께 공사 현장을 방문해 진행 상황을 점검하고 성공적인 사업 마무리를 위한 의지를 다졌다. 이 의원은 현장점검을 통해 주요 공정의 추진 현황을 꼼꼼히 살피며 주민 편의와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달라고 당부했다. 이번 고갯마루어린이공원 재조성 사업은 총 15억원의 특별교부금이 투입된 대규모 사업으로, 2023년 11월부터 공사가 본격화됐다. 기존의 단순 놀이공간은 타워형 조합놀이대와 물놀이시설이 어우러진 복합 여가 공간으로 재탄생하며, 커뮤니티 가든, 휴게 데크, 순환산책로 등 주민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편의시설도 함께 조성된다. 특히 어린이를 위한 안전한 물놀이 공간 확보는 물론, 다양한 세대가 어울릴 수 있는 열린 공간으로 꾸며지는 점이 주목된다. 사업 초기부터 지역 주민과의 소통을 중시한 점도 이번 사업의 특징이다. 이 의원과 강북구청은 일부 주
thumbnail - 이용균 서울시의원, ‘고갯마루어린이공원’ 사계절 복합여가 물놀이공간으로 재탄생 임박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