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회담 스케치
2일 박근혜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단독회담에는 일본 쪽에서는 하기우다 고이치 관방부(副)장관과 야치 쇼타로 일본 국가안보국장 등이 동석했다. 하기우다 부장관은 아베의 최측근 인사로 역사 인식에 관한 한 아베 총리와 가장 가까운 인물로 평가된다. 야치 국장은 최근 중국을 방문해 아베 총리의 방중 교섭을 담당하기도 했다. 우리 쪽에서는 주일대사 출신 이병기 비서실장과 윤병세 외교부 장관 등이 배석했다. 양쪽 배석자 모두는 각각 두 정상의 최측근이어서 대화의 밀도에서는 장애가 없을 만큼 긴밀한 대화를 나눴을 것으로 관측됐다. 청와대는 ‘화기애애’라는 표현이 회담 분위기에 맞느냐는 질문에 “상호 관심사에 대해 솔직하고 진지한 분위기”였다고 밝혔다.논의의 범위 역시 ‘껄끄러운’ 주제로까지 확대된 듯 보인다. 공식적으로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 정도가 공개됐지만, 아베 총리는 일본 기자들과 만나 “여러 가지 현안에 관해 일본이 말할 것, 주장할 점을 말했고, 한국 측의 조기 대응을 촉구했다”고 말했다. 일제 징용 피해자가 일본 기업을 상대로 제기한 소송이나 전 산케이신문 서울지국장 재판 문제 등을 거론했음을 시사한 것이다. 북한 급변 사태 시 일본 자위대의 한반도 진출 범위 논란이나 안보법제 등 다른 현안도 논의됐을 것으로도 관측된다. 우리 측도 다양한, 민감한 주제를 언급한 것으로 보인다.
확대회담 입장 때 두 정상의 표정은 완전히 비공개로 진행된 단독회담에서 ‘성과’가 있었는지를 가늠할 수 있는 방법이라는 점에서 주요 관심사였다. 이때 적어도 ‘어둡지는 않은’ 표정이 포착되면서 나름의 생산적인 대화가 오간 것 아니냐는 전망을 불러왔다. 박 대통령은 아베 총리에게 자리를 안내했다. ‘성과랄 게 있느냐’는 질문에 한 외교 관계자는 “대화시간이 길어지지 않았느냐”고 답했다. 한·일 정상회담은 예정시간을 20분가량 넘겨 98분간 진행됐고 이날 두 정상은 105분간 만났다. 청와대에서는 회동시간이 길어질 것이 예상되면서 점심 대접에 대한 의견이 제시되기도 했지만, 촉박한 시간 등 제반 여건 때문에 오찬은 끝내 생략된 것으로 전해진다.
이날 두 정상은 공히 ‘신뢰’를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확대회담에 앞서 “일본에도 한·일 관계는 진실과 신뢰에 기초해야 한다는 ‘성신지교’(誠信之交)를 말씀하신 선각자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저는 외교에서 신뢰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다”고 말했고, 아베 총리는 “저는 예전부터 일·한 관계를 개선하고자 생각해 왔으며 그러기 위해 정상 차원에서 솔직하게 의견 교환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얘기해 왔다”고 강조했다.
이지운 기자 jj@seoul.co.kr
2015-11-03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