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만에… 北 이번엔 내륙으로 ‘무력시위’

8일만에… 北 이번엔 내륙으로 ‘무력시위’

하종훈 기자
하종훈 기자
입력 2016-03-29 22:38
수정 2016-03-30 00:5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원산에서 단거리 발사체 1발 발사… 동해상 아닌 양강도에 떨어져

남한 겨냥 ‘정밀타격’ 훈련한 듯
무인기도 하루 7~8차례 포착… ‘성동격서식’ 추가 도발 우려

북한이 29일 강원도 원산에서 단거리 발사체 1발을 발사했다. 북한의 무력시위는 지난 21일 함흥 일대에서 300㎜ 신형 방사포 5발을 쏜 지 8일 만이나 이번에는 동해상이 아닌 내륙지역에 떨어져 남한 수도권을 겨냥한 가상의 표적을 놓고 정밀성을 과시한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합동참모본부는 이날 “북한이 오후 5시 40분쯤 원산 일대에서 동북방 내륙지역으로 불상의 단거리 발사체 1발을 발사했다”며 “비행거리는 약 200㎞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군 당국은 발사체의 종류를 분석 중이며 300㎜ 신형 방사포일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무엇보다 이번 발사체는 원산에서 1시 방향으로 날아가 해안에서 60여㎞ 떨어진 양강도 김형권군 일대에 떨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주민들이 다칠지 모르는 내륙으로 발사한 데는 언제라도 원산에서 200㎞ 떨어진 남한 수도권을 정밀 타격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한편 군 당국은 최근 북한이 서부전선에서 각종 무인기(UAV)의 이착륙 훈련을 강화하는 정황도 포착해 감시태세를 강화하고 있다. 군 관계자는 “정찰인지, 시험비행의 일환인지는 확인되지 않고 있지만 무인기가 불시에 우리 측 지역으로 넘어와 대비태세에 혼란을 줄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북한 무인기는 하루에 최대 7~8차례 우리 군의 감시망에 포착되기도 한 것으로 알려졌다.

군은 30일부터 시작되는 박근혜 대통령의 해외 순방 일정을 틈타 북한이 서부전선 쪽으로 관심을 유도한 뒤 다른 곳에서 ‘성동격서’식 추가 도발을 감행할 가능성을 예의 주시하고 있다.

북한은 특히 서해 연평도에서 동북쪽으로 13㎞ 떨어진 ‘아리도’에 30m 높이의 철탑을 세워 영상감시장비를 설치한 데 이어 최근에는 해상감시레이더를 추가 설치했다. 이 레이더는 서해 북방한계선(NLL) 일대의 우리 함정 작전태세를 집중적으로 감시하는 용도로 추정돼 유사시 해상에서 기습 공격할 우려도 커지고 있다.

하종훈 기자 artg@seoul.co.kr
2016-03-30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