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환 지역 전체 2.6%… 순차 반환키로
정부 “반환 시기 확정할 수 없어”
2030년 이후에나 공원 완공될 듯

서울신문DB
정부가 11일 미국과 용산기지 일부를 포함한 기지 12곳을 반환받기로 합의했다. 사진은 용산기지 전경.
서울신문DB
서울신문DB
정부는 이날 용산기지 사우스포스트(남측지역) 국립중앙박물관 인근 스포츠필드 부지와 기지 동남쪽 소프트볼 경기장 부지를 반환받기로 했다며, 용산기지는 순차적으로 돌려받을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 관계자는 “용산기지는 미군이 사용 중인 대규모 기지로 전체 기지 폐쇄 이후 반환을 추진할 경우 시간이 많이 걸릴 수 있다”며 “정부는 기지 내 구역별 상황과 여건에 따라 순차적으로 구역을 반환받는 것을 미측과 협의해 왔다”고 말했다.
한미 양국은 지난해 용산기지 반환 절차를 개시한 후 1년 만에 스포츠필드 부지와 소프트볼 경기장 부지를 반환하는 데 합의했으나, 반환 구역은 전체 반환 대상의 2.6% 수준이다. 이에 용산기지 이전이 완료될 것으로 보이는 2021년까지 용산기지 전체를 반환받기 어려울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2021년 이전이 완료돼 용산기지가 폐쇄되더라도 용산 잔류 부대를 위한 시설 공사와 반환 협의에 수년이 걸릴 수 있기 때문이다.
정부 관계자는 “기지 전체는 한미연합사령부 등 현재 남아 있는 부대들의 평택기지 이전과 용산에 잔류하는 부대의 시설 공사가 완료되어야 폐쇄될 예정”이라며 “구체적인 반환 시기를 지금 확정적으로 말하기는 어렵다”고 설명했다.
이어 “연합사 등의 평택 이전 사업이 완료되어야 용산기지 전체의 반환이 가능하다”면서 “다만 정부는 용산공원 조성 계획에 차질이 없도록 미측과 긴밀히 협의하여 반환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애초 정부는 2016~2017년 용산기지 이전을 완료하고 2019년부터 2027년까지 공원 조성을 한다는 계획이었다. 그러나 기지 이전과 반환이 늦어짐에 따라 공원 완공 시점은 2030년 이후로 밀린 상황이다. 기지 전체를 반환받더라도 기지 오염 조사와 정화 기간이 예상했던 2~3년을 넘길 수 있어 완공은 더욱 늦어질 수도 있다.
박기석 기자 kisukpark@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