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A, 미 공화당 관계자 인용 보도
청문회 개최 사전 검토 작업 들어가
증인으로 국무부 관료 등 참석 전망
“법 통과 이후 미 의회 첫 조치”

발견된 대북전단 살포용 풍선은 2∼3m 크기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일가의 사진이 부착돼 있다. 2020.6.23 연합뉴스
홍천에 떨어진 대북전단 수거하는 경찰
지난 22일 밤 경기 파주에서 탈북단체가 보낸 대북전단 살포용 풍선이 23일 홍천군 서면 마곡리 인근 야산에 떨어져 경찰이 수거하고 있다.
발견된 대북전단 살포용 풍선은 2∼3m 크기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일가의 사진이 부착돼 있다. 2020.6.23 연합뉴스
발견된 대북전단 살포용 풍선은 2∼3m 크기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일가의 사진이 부착돼 있다. 2020.6.23 연합뉴스
VOA는 전 세계 인권 문제를 다루는 ‘톰 랜토스 인권위원회’가 내년 1월 새 회기가 시작되면 한국의 대북전단금지법 등을 검토하기 위한 청문회를 열 것이라고 이 위원회의 공화당 측 관계자를 인용해 전했다.
이 관계자는 “이달 내 청문회 개최가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라면서도 “의회의 이번 회기가 며칠 남지 않은 점을 감안할 때 다음 회기가 시작되는 내년 1월 초부터 청문회의 구체적인 일정을 잡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인권위는 다음 주쯤 대북전단금지법의 세부 내용을 검토하기 위한 스태프 브리핑을 여는 등 청문회 개최를 위한 사전 검토 작업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청문회 증인으로는 국무부에서 활동했던 전현직 관료, 북한인권단체 관계자, 전문가 등이 참석할 것으로 전망된다. 과거 이 위원회의 청문회에는 국무부 인권 담당 차관보, 국제종교자유 담당 대사와 같은 현직 고위 관계자들이 증인으로 출석했다.
지난 11일 톰 랜토스 인권위원회 공화당 측 공동위원장을 맡고 있는 크리스 스미스 하원의원은 한국 민주당의 대북전단금지법 처리 강행 방침을 강력하게 비판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대북전단금지법이 통과될 경우 이와 관련해 의회 청문회를 소집할 것이라고 예고한 바 있다.
VOA는 “이 청문회는 한국 국회에서 대북전단금지법 처리가 강행된 데 대한 미 의회 차원의 첫 조치가 될 전망”이라고 평가했다.
국회는 지난 14일 대북전단 살포를 금지하는 내용의 남북관계발전법 개정안을 가결했다.
박기석 기자 kisukpark@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