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seoul.co.kr/img/upload/2024/08/01/SSI_20240801111015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4/08/01/SSI_20240801110249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4/08/01/SSI_20240801110311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4/08/01/SSI_20240801110349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4/08/01/SSI_20240801110405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4/08/01/SSI_20240801110645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4/08/01/SSI_20240801110954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4/08/01/SSI_20240801111034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4/08/01/SSI_20240801111049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4/08/01/SSI_20240801111120_O2.jpg)
전시 해상 은밀 침투 및 침투 장비 운용 능력 검증을 위한 훈련으로, 특전부대 150여 명과 고무보트 등 장비 20여 종이 투입됐다.
지역방위사단인 제32사단 해안경계부대와 상호 대항군 역할을 수행하며 실전성을 끌어올렸다.
훈련은 선발대인 해상척후조 요원들이 먼저 해안에 침투해 진입 지역의 위험 요소를 제거하면서 시작됐다. 이어 먼 바다에서 대기 중이던 본대가 척후조 유도에 따라 신속히 접안 후 목표 지점을 탈환하는 식으로 이뤄졌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