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사정포 수출에 운용 병력 파병 가능성”
우크라 살상무기 지원 여부엔 “단계적 대응”
![신원식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4/10/13/SSC_20241013173012_O2.jpg.webp)
![신원식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4/10/13/SSC_20241013173012_O2.jpg.webp)
신원식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 연합뉴스
신원식 국가안보실장은 22일 북한이 러시아를 도와 우크라이나 전쟁에 파병한 대가로 러시아로부터 평양 방공망을 강화하기 위한 무기를 지원받았다고 밝혔다.
신 실장은 이날 ‘SBS 뉴스브리핑’에 출연해 “취약한 평양 방공망을 보완하기 위해 관련 장비와 대공미사일 등이 북한에 지원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면서 “위성과 관련된 기술 외 여러 군사 기술이 (북한으로) 들어오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신 실장은 “북한이 지난 5월 27일 군사정찰위성을 실패한 이후 (러시아가) 위성 관련 기술은 이미 지난해부터 지원하겠다고 공언해 왔다”고 설명했다. 그밖에도 북한은 파병 대가로 러시아로부터 경제적 지원도 받은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신 실장은 “10월 초부터 현재까지 150~160문 이상, 2개 포병 여단 규모가 러시아로 지원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국가정보원은 북한이 포탄과 미사일에 이어 170㎜ 자주포와 240㎜ 방사포 등 장사정포까지 추가 수출했다고 국회에 보고했다.
북한이 장사정포 운용을 위한 병력까지 러시아에 파병했을 가능성에 대해 신 실장은 “(러시아에 파병된) 1만 1000명에 포병이 포함돼 있는지, 별도로 추가 인원이 갔는지는 확실하지 않다”면서도 “별도로 갔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장사정포에 대해 신 실장은 “북한에는 없는 무기체계”라며 “운용 병력이 일부가 갈지 다 갈지는 지켜봐야 하는데, 편제 요원이 다 가면 최대 4000명 정도”라고 설명했다.
신 실장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세계대전으로 확대할 가능성에 대해 “가능성이 높지 않다고 본다”며 “특히 러시아의 핵무기는 실제로 사용하기 굉장히 어렵다”고 선을 그었다.
또 북한이 전쟁에 추가 파병할 가능성에 대해서는 “전혀 배제할 수는 없지만 현재로 확인된 바는 없다”고 답했다.
우리나라가 우크라이나에 살상 무기 등을 추가 지원할 가능성에 대해 신 실장은 “단계적으로 대응하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하며 “미국의 우크라이나 지원과 나토의 대응 등 여러 변수가 많아, 우리의 가치 공유국과 유사 입장국과의 연대 등을 포괄적으로 고려해 방침을 결정해나갈 생각”이라고 설명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