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시 퇴각’ 외신 보도 국정원도 확인
“사상자 다수 발생이 이유 중 하나”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러시아에 파병된 북한군의 모습이라며 공개한 영상. 2024.12.17 [젤렌스키 X 캡처]](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2/04/SSC_20250204150513_O2.jpg.webp)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러시아에 파병된 북한군의 모습이라며 공개한 영상. 2024.12.17 [젤렌스키 X 캡처]](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2/04/SSC_20250204150513_O2.jpg.webp)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러시아에 파병된 북한군의 모습이라며 공개한 영상. 2024.12.17 [젤렌스키 X 캡처]
러시아에 파병된 북한군이 전선에서 일시 퇴각했다는 외신 보도와 관련, 국가정보원은 “1월 중순부터 러시아 쿠르스크 지역에 파병된 북한군이 전투에 참여하는 동향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고 4일 밝혔다.
국정원은 이어 “사상자 다수 발생이 이유의 하나일 것으로 보이나 정확한 사항은 계속 파악 중”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뉴욕타임스는 익명의 우크라이나 및 미국 정부 당국자의 발언을 인용해 러시아에 파병된 북한군이 우크라이나 전쟁에 투입돼 상당한 피해를 보고 퇴각했고, 추가 훈련을 받은 뒤 재투입될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했다.
북한은 지난해 11월 약 1만 1000명 규모의 병력을 러시아에 파병했다. 파병된 북한군은 우크라이나군이 점령 중인 러시아 쿠르스크 일대에 배치돼 전투에 참여했고, 사상자도 다수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국정원은 지난달 13일 국회 정보위원회 간담회에서 러시아에 파병된 북한군 가운데 사상자 수가 3000명을 넘어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고 보고하기도 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